농촌진흥&사이언스

'감귤박람회' 국산 대표품종 줄줄이 선보여

- 제주감귤박람회 10일부터 14일까지...16개 국산화 대표 품종 다 나와
- 김대현 감귤연구소장 “저장 유통 기술 개발과 함께 우리품종 우수성 알려"
- "미래향, 탐빛1호 등 국내 육성 품종 보급으로 국산화율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감귤 품종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일 년 내내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10일부터 14일까지 열리는 제주감귤박람회(서귀포농업기술센터 일원)에서 국산 품종 홍보에 나선다.

감귤은 한번 심으면 30년 이상 재배하는 경우가 많고, 묘목을 심으면 2~3년간 소득이 발생하지 않아 신품종 보급이 어려움. 감귤연구소는 수확기 다양화, 건강 기능성 강화 품종 개발 등을 통해 보급률을 현재 3.2%에서 2032년 20%까지 높일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박람회 기간 동안 행사장 안에 감귤연구소 홍보관을 운영하고, 자체 개발한 감귤과 레몬 16품종을 소비자와 농업인에게 소개할 계획이다.


# 감귤계의 기대주, 새로 뜨는 품종

▲ ‘미래향’은 2019년 선발한 품종으로 당도는 12브릭스(°Bx), 산도는 1.1%, 무게는 150~200g이다. 12월 중하순께 수확할 수 있으며, 비슷한 시기에 수확하는 외국 품종 ‘베니마돈나(상품명: 황금향)’보다 껍질이 쉽게 벗겨지고 과육이 부드럽다.

▲ ‘미니향’은 2015년 선발한 품종으로 당도는 15브릭스(°Bx), 산도는 0.7%, 무게는 30~40g이고 12월에서 1월 사이에 수확할 수 있다. 노지에서도 재배하기가 쉬워 2021년 기준 재배면적이 16헥타르로 증가했다. 단맛이 강하고, 다른 감귤류와 달리 크기가 탁구공만 해 젊은 층의 선호도가 높다.

 


▲ ‘사라향’은 2016년 선발한 품종으로 당도는 14.5브릭스(°Bx), 산도는 1.1%, 무게는 200g이고 2월에 수확할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수확하는 외국 품종 ‘세토카(상품명: 천혜향)’보다 당도가 높고 2주 정도 일찍 수확할 수 있다.

▲ ‘탐빛1호’도 2016년 선발한 품종으로 당도는 14.6브릭스(°Bx), 산도는 1.2%, 무게는 150g이고 3월에 수확할 수 있다. 껍질 들뜸 현상이 없고 과즙이 풍부하며 식감이 우수하다.

 


# 소비자가 인정한 인기 품종

▲ ‘하례조생’은 2004년 선발한 품종으로 국내 개발 감귤 품종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542.2ha)에서 재배되고 있다. 당도는 10.7브릭스(°Bx), 산도는 1.0%, 무게는 80~90g이며, 비슷한 크기의 외국 품종 ‘궁천조생’보다 당도가 높고 재배하기가 쉽다.

▲ ‘윈터프린스’는 2016년 선발한 품종으로 2020년부터 대형 마트를 중심으로 유통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당도는 12브릭스(°Bx), 산도는 1.0%, 무게는 180g 정도이며, 껍질이 쉽게 벗겨지고 과즙이 진해 식미가 좋다.

농촌진흥청은 품종 전시와 함께 11일 감귤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열고, 국산 신품종 보급 활성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 박람회부터 국산 품종 재배를 확대하고자 열리는 감귤품평회 시상 대상에 ‘하례조생’ 부문을 새로 추가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김대현 소장<사진>은 “국내 육성 품종 보급은 단순히 국산화율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고품질 감귤 생산, 연중 생산 체계 구축, 시장개방 대응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품종 연구·개발, 무병화 묘목 생산·보급, 건강 기능성 연구, 수출 증대를 위한 저장 유통 기술 개발과 함께 적극적으로 우리 품종의 우수성을 알리겠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