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글로벌아그로, 친환경 '세균병 방제' 솔루션?... 생물농약 ‘균싹’과 ‘가루크린’ 추천

- 김동련 글로벌아그로㈜ 마케팅부문장 "생물농약은 오랜 연구 끝에 개발... 저항성 세균병에도 효과적으로 작용"
- 자연 유래 미생물을 활용한 착한방제 생물농약 ‘균싹’과 ‘가루크린’으로 예방 중심의 농작물 병해관리

 

최근 큰 일교차와 낮 기온 상승이 이어지며, 복숭아 세균구멍병, 고추 세균점무늬병, 토마토 풋마름병 등 다양한 세균성 병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 방제 솔루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동오그룹의 친환경 솔루션 전문기업 글로벌아그로㈜는 자연 유래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농약 제품 ‘균싹’과 ‘가루크린’을 통해 사전 예방 중심의 병해 관리 전략을 제안했다.

 

◈ 자연 유래 항생물질로 세균병 억제하는 ‘균싹’

 

‘균싹’은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균주를 주성분으로 한 미생물제제로 국내외 특허를 보유한 고유 균주기반의 제품이다.

 

해당 균주는 옥시디피시딘, 디피시딘 등 총 9가지 항생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세균의 주요 병원균 억제에 효과적이다.

 

특히, 기존 항생제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성 문제를 최소화하고, 잔류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병해 관리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흰가루병 예방·치료를 동시에, 국내 토착 미생물제 ‘가루크린’

 

‘가루크린’은 국내에서 분리된 토착 미생물 균주의 대사산물을 활용한 제품으로 오이, 멜론, 수박, 딸기, 호박 등 다양한 작물의 흰가루병 방제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약효 지속기간이 약 10일 정도로 길고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인축과 환경에 안전한 제품으로 전 생육기 및 수확 직전까지 사용 가능하다.

 

흰가루병에 감염된 작물은 하엽부터 흰색 곰팡이가 퍼지며 생육부진과 낙엽을 유발하는데, ‘가루크린’은 이러한 피해를 줄이며 약제 저항성과 잔류 문제까지 고려한 친환경 솔루션이다.

 

글로벌아그로㈜ 김동련 마케팅 부문장은 "저항성을 갖는 병해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며, "‘균싹’과 ‘가루크린’은 오랜 연구 끝에 개발된 제품으로 저항성 세균병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토양 내 병원균이 문제인 토마토 시들음병의 경우는 관주처리, 지상부 병해인 복숭아 세균구멍병이나 고추 세균점무늬병에는 경엽처리로 대응할 수 있어 농가의 병해 대응 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