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정병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부장
- "메탄 발생 줄인 ‘감탄’으로 탄소중립에 한 걸음 더!"
- "메탄 저감 유전자 보유 벼 품종 개발...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 감축 기대"
【현/장/인/터/뷰】 정병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부장 "친환경 단지 우선 보급, 저탄소 인증·고품질 브랜드 전략 병행해 농가 소득향상 추진" - ‘감탄’품종을 통한 국내 온실가스 감축 가능량은? ▶네, ‘감탄’ 품종이 실제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국가온실가스 배출계수 등록을 해야 합니다. 아직 개별 품종이 국가온실가스 배출계수에 등록된 사례는 없지만 현재 시험연구 중에 있습니다. 만약 배출계수가 이번 연구처럼 16% 감축량으로 등록이 된다면, 10만ha 재배 가정 시 벼 재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의 약 2.3%(17.1만톤)를 감축할 수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벼 재배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량은 (′21∼′22 평균) 726만톤CO2eq으로 국내 벼 재배면적 66.3만ha, 감탄 10만ha 가정 시 17.1만톤 감축이 가능하다. - 논에서 온실가스가 나오는 경로는? ▶논에서 이루어지는 벼 재배는 농업 분야에서 메탄가스(CH4) 배출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벼농사는 일반적으로 논에 물을 깊이 담아서 담수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환경은 토양 내 산소가 거의 없는 무산소(혐기성)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