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자조금, ‘한우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 방안 연구’ 결과 발표

- 국내 조사료의 생산, 공급 및 유통 문제점 개선을 위한 정부 정책 및 한우농가 역할 제시

 

최근 기후변화와 코로나19에 의한 한우 조사료의 수급 불안과 가격 급등으로 한우농가의 경영 불안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탄소중립과 2025년 이후 축산물의 FTA 관세 자유화 등 정책적 요소까지 더해져 한우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한우의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과 수급 안정화에 의한 사료비 절감이 절실하며, 한우농가의 경영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국내 조사료 생산의 안정적인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한우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연암대학교 산합혁력단에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한우 농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 방안을 위한 국내 조사료의 생산, 공급 및 유통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정부에 관련 정책을 제안하고자 추진되었다.


국내 조사료 공급량은 2022년 5,707천톤으로 추정되며, 이중 국내산 조사료 생산은 4,727천톤으로 자급률이 82.8%이나 양질조사료(초지 및 사료작물)가 1,524천톤으로 국내 조사료 공급량의 26.7%이며, 볏짚의 공급량은 3,203천톤으로 국내 조사료의 공급량의 55.3%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가 수입 조사료를 선호하는 이유는 ▲국내 조사료의 높은 수분함량 ▲수분과 사료 품질의 불균일 ▲흙 등 이물질 및 수분에 의한 곰팡이 ▲무거운 원형 베일로 운반과 취급의 어려움 등이 있었으며, TMR 공장이 수입 조사료를 선호하는 이유는 ▲높은 수분함량 ▲수분 변이로 수분 조절의 어려움 ▲이물질과 곰팡이 문제 ▲보관 시 넓은 야적 장소 필요 ▲HACCP 인증의 어려움 ▲조사료 재포장의 비가림 시설 요구 ▲국내 조사료 매입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어 자금 투입의 부담 등 다양한 요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밭의 사료작물 생산체계는 7가지 유형, 논의 사료작물 생산체계는 6가지 유형이 있는데, 한우 농가에서 적합한 생산체계는 모두 다 이용할 수 있으며, 지역, 논과 밭, 기타 형태에 따라 농가가 선택하는 유형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는 육성우, 비육우, 번식우의 생육단계에 따라 사료 요구량이 다르며, 사육두수, 조농비율에 따라 조사료 생산 면적이 다르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생육단계별 조농비에 따라 조사료 생산 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를 위한 방안으로 ▲새만금지구 간척농지의 일시 사용을 중장기 입대로 전환하는 정책 ▲답전 전환에 의한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 ▲수입 조사료의 수급과 공급 안정화를 위한 품질평가제도 도입 등을 제안했다.


연암대학교 산합혁력단은 그 밖에도, 국내 조사료의 생산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 방안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현행 제도의 개선, 조사료 생산농가 및 한우농가의 역할을 제시했다. 


이동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료의 생산, 유통, 이용 현황에 대한 꾸준한 농가 교육을 통해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및 수급 안정화에 기여해 한우의 경쟁력 향상에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