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업전망2022' 예측... 3.2% 감소한 52조 3천억원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2농업전망 대회'... "2021년 농업생산액‧농가소득 큰폭 증가, 올해는 조정 국면” 전망발표
- 올해 주요 품목 생산성 회복과 가격하락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0.6% 감소 전망
- 한우와 돼지의 도축물량 증가와 가금류의 생산량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6.6% 감소
- 2022년 농업생산액 3.2% 감소한 52조 2,930억 원...축산물 가격 조정으로 감소 전망
- 축산물 생산 증가로 전년의 높은 가격 유지 어려워 농가소득 0.6% 감소할 듯
-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6.9% 감소
-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과 자본수입 확대로 3.4% 증가
-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

 

지난해 농업생산액은 7.8% 증가한 54조 420억원으로 농가소득이 4.3% 증가한 4,697만원 추정되고 있다.
당초 1.5% 소득증가 전망을 뛰어넘는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은 이같은 내용으로 19일과 20일 양일간 비대면 온라인 '2022농업전망대회'에서 신년 좌담회와 주요 예상이슈, 각 부류와 품목별 분석을 통한 농업전망 발표를 했다.

 


이같은 소득증가를 KREI 농업관측센터는 농업 전반(특히, 축산)의 생산액 증가로 GDP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보이며, 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15.3% 증가한 것으로 KREI 농업관측센터는 분석됐다.

특히 공익직불 및 수급 조절 정책, 농축산물 전반적인 가격 상승 등으로 농가소득이 개선됐다.
농업소득은 농업총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9.9% 증가한 1,299만 원이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하고, 이전소득은 공익직불 시행 등 보조금의 수령액 증가로 전년 대비 2.3% 증가됐다.

2022년 농업생산액은 3.2% 감소한 52조 2,930억 원 전망이다.
주요 품목의 생산성 회복과 가격 하락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6% 감소가 전망된다.

한우와 돼지의 도축물량 증가와 가금류의 생산량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6.6% 감소가 전망되고 있다.

 


이에따라 2022년 농가소득은 축산물 가격 조정으로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축산물 생산 증가로 전년의 높은 가격 유지가 어려워 농가소득 0.6% 감소하고,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6.9% 감소가 예측되고 있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과 자본수입 확대로 3.4% 증가하고,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할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전망하고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