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상기온으로 제주산 먹거리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 제주지역 특별 농업재해 지역선포 요청 성명서

이상기온으로 제주산 먹거리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 제주지역 특별 농업재해 지역선포 요청 성명서

 

이상기온 현상으로 농산물이 제값을 받지 못하면서 농가들이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1차산업 비중은 14.9%로 전국평균(2.3%)보다 6.5배 높고 이 중 감귤을 비롯한 월동채소 등 농산물은 46%를 점유하고 있어 그 심각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산 농산물은 생육기간에 좋은 기상여건으로 품질이 예년보다 좋아 높은 가격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난 10월 하순부터 지속되는 비날씨와 높은 기온은 농산물 제 값 받기의 꿈과 희망을 한 순간에 날려 버리고 말았다. 감귤은 과다한 수분으로 나무에서 외관상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부패과가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또한 당근, 양배추, , 브로콜리는 품질이 아주 떨어져서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거래되거나 농가들 스스로가 산지에서 폐기처분을 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에 있다. 이제 농가에서는 영농자금 상환과 자녀들의 학비 등 생계걱정으로 하루 하루를 절박한 심정으로 보내고 있다.


속절없이 무너지는 가격하락을 막기 위하여 농업인단체협의회와 생산자 단체인 농감협의 건의에 의하여 제주특별자치도가 1차로 저급품 감귤 2만톤을 시장격리하였고 2만톤을 추가하여 총 4만톤 시장격리를 는 등 자구노력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거대한 자연의 대재앙 앞에 저희 농업인들과 지방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 아닐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제주농업인 단체협의회는 이러한 어려운 처지와 곤경에 빠져 있는 제주 농업인들의 어렵고 힘든 심정을 헤아려, 비 날씨와 기상 이변으로 인한 피해로 시름에 잠겨있는 제주 농업인들이 일어설 수 있는 기회와 희망을 반드시 주어야 한다.”


, 이들은 제주지역을 농업 특별재해지역으로 선포하여 영농자금 상환연기 및 이자 감면, 감귤 저급품 시장격리에 따른 소요비용과 농자재 구입 외상대금 상환연기, 무이자 특별 융자금 지원 등 특별대책 마련이 절실히 필요하며 제주도정도 농어촌진흥기금을 확대하여 운용을 해야만 하며 절망과 시름에 빠진 제주 농업인들의 눈물을 닦아주실 것을 간곡히 건의 한다라는 긴급성명을 내놓는 등 농민들의 다급한 목소리를 호소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신유통토론회...'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이동필)과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최근 aT센터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제106차 신유통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농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18곳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의 52%를 차지한다. 고령사회 진입과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소멸의 중요한 원인이며,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이 인구 50만의 대도시와 대도시 원도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농협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조발제에서 이동필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농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이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행위자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지역과 조합원 수요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지역농협의 대응사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