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상기온으로 제주산 먹거리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 제주지역 특별 농업재해 지역선포 요청 성명서

이상기온으로 제주산 먹거리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 제주지역 특별 농업재해 지역선포 요청 성명서

 

이상기온 현상으로 농산물이 제값을 받지 못하면서 농가들이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1차산업 비중은 14.9%로 전국평균(2.3%)보다 6.5배 높고 이 중 감귤을 비롯한 월동채소 등 농산물은 46%를 점유하고 있어 그 심각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산 농산물은 생육기간에 좋은 기상여건으로 품질이 예년보다 좋아 높은 가격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난 10월 하순부터 지속되는 비날씨와 높은 기온은 농산물 제 값 받기의 꿈과 희망을 한 순간에 날려 버리고 말았다. 감귤은 과다한 수분으로 나무에서 외관상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부패과가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또한 당근, 양배추, , 브로콜리는 품질이 아주 떨어져서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거래되거나 농가들 스스로가 산지에서 폐기처분을 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에 있다. 이제 농가에서는 영농자금 상환과 자녀들의 학비 등 생계걱정으로 하루 하루를 절박한 심정으로 보내고 있다.


속절없이 무너지는 가격하락을 막기 위하여 농업인단체협의회와 생산자 단체인 농감협의 건의에 의하여 제주특별자치도가 1차로 저급품 감귤 2만톤을 시장격리하였고 2만톤을 추가하여 총 4만톤 시장격리를 는 등 자구노력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거대한 자연의 대재앙 앞에 저희 농업인들과 지방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 아닐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제주농업인 단체협의회는 이러한 어려운 처지와 곤경에 빠져 있는 제주 농업인들의 어렵고 힘든 심정을 헤아려, 비 날씨와 기상 이변으로 인한 피해로 시름에 잠겨있는 제주 농업인들이 일어설 수 있는 기회와 희망을 반드시 주어야 한다.”


, 이들은 제주지역을 농업 특별재해지역으로 선포하여 영농자금 상환연기 및 이자 감면, 감귤 저급품 시장격리에 따른 소요비용과 농자재 구입 외상대금 상환연기, 무이자 특별 융자금 지원 등 특별대책 마련이 절실히 필요하며 제주도정도 농어촌진흥기금을 확대하여 운용을 해야만 하며 절망과 시름에 빠진 제주 농업인들의 눈물을 닦아주실 것을 간곡히 건의 한다라는 긴급성명을 내놓는 등 농민들의 다급한 목소리를 호소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사료용 맥류 보급종 종자’ 9월 15일부터 농가 신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사료용 맥류 4작물 4품종(청보리, 호밀, 트리티케일, 겉귀리)의 보급종 종자를 농가단위 개별신청을 받아 보급한다. 이번 신청은 ‘종자광장’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자는 ‘종자개별신청’→ ‘신규신청’ 메뉴에서 배송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종자를 선택한 후, 입금 안내 문자를 수신 받아 입금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입금자명과 신청자명이 일치해야 배송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청 가능 품종과 수량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신청 취소 등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보급되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북부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청보리 ‘유진’, 호밀 ‘대곡그린’, 트리티케일 ‘한영’, 겉귀리 ‘하이스피드’ 등으로 포장 단위는 20kg이다. 전량 미소독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가격은 청보리 36,000원, 호밀 45,000원, 트리티케일 40,000원, 겉귀리 42,000원이다.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는 겨울철을 견뎌야 하므로 파종 지역의 기후와 품종 특성을 반드시 확인한 후, 적합한 품종을 신청하길 권고한다. 청보리 ‘유진’은 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