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식물검역체계’ 개선에 주목

검역병해충‧실험실 정밀검역 관리체계 과학적‧효율적 개선
교역 상대국 검역관 방한 없이 비대면 영상검역, 전자식물검역증명서 ‘ePhyto’ 도입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최근 새로운 병해충 검출 증가, 병원체 신규 유전자 정보 발견 및 코로나19 상황 등 식물검역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식물검역체계 혁신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검역본부는 첫 번째 과제로 변화하는 통상환경 및 검역여건에 맞춰 검역병해충 및 실험실 정밀검역 관리체계를 좀 더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 중이라고 밝혔다.

 

2020년 3월에 마련된 새로운 위험평가 기준으로 대학, 관계기관 등의 병해충 전문가를 참여시켜 총 2,273종(병 521, 해충 1,752) 병해충을 위험도에 따라 검역 지위를 조정 중이며 효과적인 검역병해충 위험관리를 위해 위험평가 기준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검역병해충 위험도 재평가를 매 5년 주기로 정례화한다.

 

과학 기술 발달로 유전자 정보 분석기술이 보편화 되어 병원체의 새로운 유전정보가 지속 발견됨에 따라 기 개발된 총 107종(바이러스 55, 세균 52) PCR 검사법에 대해 재점검을 진행 중이며, 5년이 경과된 PCR 검사법 대상으로 매 3년 주기로 검사법 재점검을 정례화한다.

 

실험실 정밀검역 결과에 대한 정확도 제고를 위하여 식물병해충 분야별 정도관리 고도화를 추진 중이며 또한 식물검역기술센터 식물병해충 실험실에 대하여 한국인정기구(KOLAS)의 공인인정을 받는 중이다.

 

식물병해충 실험실 장비를 현대‧표준화하고 실험공간을 구획화하여 오염 차단 등 선진국형 표준실험실을 구현 중이다. 자체 연구사업을 통해 개발한 식물별 전자동 핵산분리 장비를 확대 설치하고 무인 자동 PCR워크스테이션 및 Real-time PCR을 단계적으로 도입하여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분석시간(15시간 → 5시간)을 단축하여 양질의 검역 서비스 제공 및 실험실 정밀검역 물량 증가에 대비하는 한편 시료 준비실과 실험실간 완충구역을 설치하여 식물체로부터 유입되는 병원체의 오염을 차단할 계획이다.

 

둘째, 병해충 위험도가 낮은 수입식물을 서류검역대상으로 확대 지정하는 등 수요자 편익을 위한 검역 방법 개선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5년간 병해충과 금지품이 검출되지 않은 품목 및 국제 전자상거래 물류센터 반입 물품 중 일부 품목을 서류검역대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며, 서류검역대상으로 지정된 품목은 수입식물 검역 소요 기간 단축 및 컨테이너 물류비 절감 등 검역 수요자의 편익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현장 식물검역 인력도 절감되어 고위험품목 검역 등에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차질 없는 농산물 수출을 위해 교역 상대국 검역관 방한 없이 비대면 영상검역을 통해 수출을 추진하고 수출입 시 식물검역증명서 사본 인정 및 전자식물검역증명서(ePhyto) 도입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상대국과 체결한 검역 협정에 따라서 상대국 검역관을 초청하여 한국의 수출시스템을 점검받고 합동으로 검역을 실시해야 하나 상대국과 검역관 방한 없이 영상검역을 통한 농산물 수출이 합의되어 2020년 8월 24일 영상검역을 통해 중국으로 파프리카를 첫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중국과의 영상검역을 계기로 검역본부는 비대면 방식의 적용을 외국산 농산물의 수입검역 및 검역협상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항공편 운항 차질로 상대국 검역증명서 도착이 지연‧중단됨에 따라 수출입 시 식물검역증명서 사본을 인정하고 미국, 뉴질랜드와 전자식물검역증명서 교환 시범 운영을 통해 미비점 보완 후 정식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안용덕 검역본부 식물검역부장은 종합적인 식물검역체계 개선으로 정부와 검역 수요자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확립되어, “식물검역의 신속‧정확성을 높여 국민에게 신뢰받고 국민의 편익까지 고려하는 식물검역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아울러 “식물검역 환경변화에 대응한 합리적인 식물병해충 위험관리체계와 수출입 식물검역방법 개선을 통해 안전한 농업환경 유지 및 농산물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뙤약볕 농삿일 '온열질환 예방'... "물! 그늘! 휴식! 3대 수칙"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령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후 민감 직업군인 농업인이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작업 전 준비 사항= 농작업 당일 날씨와 체감온도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농작업 중 마실 수 있는 시원한 물을 준비한다.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고, 휴대용 선풍기나 보냉 장비(얼음 주머니, 냉각 목밴드 등)를 챙긴다. 더운 시간대(낮 12~17시) 작업은 되도록 피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한다. △농작업 중 점검 사항= 농작업 중 갈증이 나지 않아도 15~20분마다 시원한 물을 마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 오르는 폭염경보가 발효되면,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한다. 더운 날에는 작업 강도를 조정하고, 농작업자를 자주 교대한다.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작업을 멈추고 쉰다. 농작업 중 발열, 두통, 어지러움, 매스꺼움, 피로감 등 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농작업 후 관리 요령= 농작업이 끝나면 그늘에서 잠시 쉬면서 수분을 보충한다. 작업 후에는 몸을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체온을 낮춘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에서 전공·특기 살려 재능 나눠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주관하는 ‘2025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가 7월 1일부터 4일까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일대에서 진행된다. 이번 캠프에는 대학생 봉사단 200여명이 참여해 전기안전점검, 의료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나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는 2015년에 시작돼 올해로 10회째를 맞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 진행되는 이 캠프는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한편, 대학생과 지역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해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학생 봉사단은 7월 1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자신의 전공과 특기를 살려 ▲의료활동 ▲마을벽화 그리기 ▲이·미용 활동 ▲안경 맞추기 ▲전기 안전점검 ▲아동교육 ▲마을 소통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캠프에는 대학생 봉사단체와 함께 ▲하동군 옥종면·화개면 의용소방대 ▲봉사단체 ‘광양만 사람들’▲화개면 주민자치위원회 ▲농촌체험휴양마을 ‘의신베어빌리지’, ‘모암마을’ 등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해 풍성함을 더할 예정이다. 김영배 농어촌자원개발원장은 “농촌재능나눔 활동을 통해 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