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자돈사료' 선풍적 농가에 인기 끌어

'윈맥스' 팜스코 자돈 시리즈 8월 3천톤 돌파로 주변 농가까지 큰 관심
8주령까지 자돈3호 매출로 신기록달성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의 자돈사료 매출이 8월 월간 3,000톤을 돌파하며 신기록을 달성하였다. 트랜스 구간을 제외한 8주령까지의 자돈 3호까지의 매출로 달성한 이 기록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500톤/월 이상 증가한 실적이다.

 

이러한 기록은 올해 3월 출시한 자돈 신제품 ‘윈맥스’ 자돈 시리즈의 선풍적 인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출시 5개월만에 무려 1,300톤/월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것이다.

 

다산성 모돈의 취약한 자돈을 건강하게 육성하기 위한 개념으로 출시 된 윈맥스 자돈 시리즈는 정육형으로 바뀐 다산성 모돈에 맞춘 영양 설계와 이유 후에도 높은 섭취량을 유지할 수 있는 소화율이 높은 최고급 원료를 대폭 기용하는 등 과감한 영양적 투자를 하였으며, 최대의 면역 기관이자 영양의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는 장건강에 초점을 맞추어 최신 기술들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성장은 물론 연변, 설사 문제까지 해결하였다는 현장의 평가다.

특히 이러한 선풍적인 인기에는 현장에서 실시한 비교사양으로 실제 성적이 눈으로 확인 된 것이 영향이 컸다. 윈맥스 자돈 프로그램의 특징 중 하나는 일령이 아닌 체중을 기준으로 사료를 교체해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 2호에서 3호로 교체하는 기준을 일률적으로 42일에 교체하는 것이 아닌 42일령 14kg에 도달하는 지 확인하여 교체 프로그램을 조정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42일령 체중을 점검해 본 결과, 2kg 가량 평균 체중이 더 높은 결과가 많은 농장에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실증이 입소문을 타면서 많은 농장에서 윈맥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품을 개발한 정영철 양돈 PM은 "자돈 시기에 제대로 육성 되어 높은 체중을 기록하는 것은 출하 일령을 앞당기고 사료효율을 높이게 되어 결국 두당사료비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도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자돈의 면역과 건강을 높혀 이유 후 육성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85% 수준에 불과한 한돈 산업의 이유 후 육성율을 개선하는데에 윈맥스 프로그램이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팜스코의 자돈사료 프로그램이 폭발적인 신장세만큼 한돈 산업에 기여를 하게 될 것인지 관심이 주목된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