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가 일손 줄여주는 자율주행 콤바인 상용화

- 경로 설정하면  벼 베고 선회하고 수확량까지 알려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노수현)은 농림축산식품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과 수확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자율작업 콤바인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성공했다.

 

콤바인은 벼나 보리, 콩 등의 곡물을 벤 후 탈곡까지 동시 작업이 가능한 수확용 농기계로 짧은 수확시기에 일손을 크게 줄여 주는 농촌에 없어서는 안 될 대표 농기계다. 하지만 국내 콤바인 시장에서 일본제품의 점유율은 58%에 달한다. 국산 콤바인과 비교해 기술력에 차이가 있다는 게 현장의 의견이다.

 

농기계에 있어서 자율주행 기능은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농기계에 익숙지 않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조작 미숙으로 인한 농작물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가 농기계 조작에 몰두하지 않아도 돼서 피로 감소와 안전성이 향상되며 한사람이 여러 작업을 병행할 수 있어 일손도 줄어든다.

 

이번에 ㈜대동이 국내 최초로 작업자의 운전과 제어 없이도 농경지 환경에 맞춰 자율작업이 가능한 3단계 수준의 자율주행 콤바인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개발된 자율주행 콤바인은 RTK-GPS 기반의 위치 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작업 시 오차범위를 최소화했다. RTK(Real-Time Kinematic)-GPS는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보정하여 오차를 줄여주는 GPS 기술로 이론상 1~2cm 정도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동에서 실증 시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한 결과 작업오차 범위는 평균 7cm 이내였으며 작업정확도도 95% 이상으로 나타나 세계 최고 업체의 성능 수준과도 비교해 뒤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노수현 원장은 “자율주행은 미래 스마트 농업을 선도할 핵심기술로써 고령화와 인력부족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우리 농업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자율주행과 자율작업이 가능한 농기계 개발을 위해 지속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과수협회,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워크숍' 개최
(사)한국과수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자유무역협정(FTA)과 이상기후 변화로 국산 과실의 소비량 급감과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급등락, 수입 과실과 경쟁력 약화에 대비를 위한 컨설팅과 현장지원단을 운영하여 전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단감 농가의 기술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한 사업을 다년간 진행해 왔다. 지난 8월6일 충북농업기술원에서 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와 공동 주최로 사과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사과 다축형 평면 수형 모델 주요 특성 및 발전 방향(강원도원 정햇님 박사), 사과 병해충 방제 기술(전 (사)한국과수협회 임명순 명예회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성 신품종 사과 소개(국립원예특작과학원 권다경 박사)를 했다. 또, 사과 과원 토양·비료·물관리((사)한국과수협회 신건철 회장), 기후변화에 따른 사과 재배 대응 방안(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 최효열 기술고문), 사과생리 장해(원예산업발전연구소 문병우 소장)의 발표로 전국에서 250여명의 농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행사를 마친 바 있다. 또한, 8월 13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포도 재배 관리 요령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과수협회,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워크숍' 개최
(사)한국과수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자유무역협정(FTA)과 이상기후 변화로 국산 과실의 소비량 급감과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급등락, 수입 과실과 경쟁력 약화에 대비를 위한 컨설팅과 현장지원단을 운영하여 전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단감 농가의 기술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한 사업을 다년간 진행해 왔다. 지난 8월6일 충북농업기술원에서 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와 공동 주최로 사과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사과 다축형 평면 수형 모델 주요 특성 및 발전 방향(강원도원 정햇님 박사), 사과 병해충 방제 기술(전 (사)한국과수협회 임명순 명예회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성 신품종 사과 소개(국립원예특작과학원 권다경 박사)를 했다. 또, 사과 과원 토양·비료·물관리((사)한국과수협회 신건철 회장), 기후변화에 따른 사과 재배 대응 방안(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 최효열 기술고문), 사과생리 장해(원예산업발전연구소 문병우 소장)의 발표로 전국에서 250여명의 농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행사를 마친 바 있다. 또한, 8월 13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포도 재배 관리 요령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