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한돈협회 "할당관세 2만톤 추가·도매시장 도축수수료 지원 철회하라"

- "인위적 도매시장 출하 유도는 돈가폭락 불러와 농가 피해 입힐 것"
- "사료값 폭등으로 벼랑 끝에 몰린 한돈농가 생존권을 보장하라"
- 7월 11일(월) 9시 30분, 전쟁기념관 앞에서 수입 축산물 무관세 개정 철회 기자회견

정부가 최근 7월부터 도매시장 도축수수료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축산농가 비용부담 완화대책’과 함께 서민 물가안정대책으로 삼겹살 할당관세 2만톤(냉동1만, 냉장1만톤) 추가증량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계속되는 사료가격 인상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ASF 위협으로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 대책은 서민과 축산농가 부담 완화’라는 목적과는 달리 인위적인 시장개입으로 농가 피해를 가중시키고, 소비자 편익없는 정책이라 판단하고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정부가 축산농가의 생산, 출하 부담을 완화하는 지원책이라며, 7월 중순부터 도매시장에 상장되는 돼지에 대해 마리당 2만원 씩 도축수수료를 지원한다고 하지만 현재 도매시장에 경락되는 돼지는 일 전체 출하물량 대비 5% 미만으로 도매시장 출하물량 확대는 곧 경락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결국 이번 정부대책은 도매시장 수수료 지원을 명분으로 인위적인 공급 확대로 돼지가격 하락을 유도하는 꼼수라고 협회측은 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사료 주원료인 곡물가격 폭등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실제 수입되어 사용되는 옥수수가격은 2022년 5월 작년 1월 대비 70% 이상 상승했으며, 8월 이후엔 115% 이상 급등한 역대 최고 곡물시세가 전망되고 있어 이를 견디지 못한 농가의 하반기 도산 경고가 현실화되고 있다.

계속되는 사료가격 인상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ASF 위협으로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삼겹살 할당관세 추가증량과 도매시장 도축수수료 지원으로 돈가가 폭락한다면, 축산농가의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대한한돈협회는 삼겹살 할당관세 추가증량과 함께 도매시장 도축수수료 지원은 인위적인 도매시장 가격하락을 유도해 한돈농가에 피해를 입히는 인위적인 시장개입이자 기만정책으로 규정하고, 즉각 철회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하며, 이러한 일이 재발되지 않을 것을 호소하고 있다.

한편,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이같은 정부 졸속대책에 항의하기 위해 7월 11일(월) 9시 30분, 전쟁기념관 앞에서 수입 축산물 무관세 개정 철회 기자회견을 앞두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