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진청, 새만금간척지서 산업용 고구마 재배

- 관개수 염 농도 0.4% 이하에서 고구마 재배 가능
- 덩이뿌리 수확용은 ‘호풍미’·‘소담미’, 지상부는 ‘통채루’가 수량성 높아
- 대규모 산업용 고구마 원료곡 생산…수입 원료곡과의 경쟁 기반 마련 기대

 

국내 식용 고구마 대부분은 국산인 데 반해 산업용 고구마의 78%는 외국산이다. 전분, 주정, 제당, 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구마 수요가 늘어나면서, 원료 자급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새만금간척지에서 산업용 고구마를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관개수 염 농도 기준을 설정하고, 재배가 가능한 고구마 품종을 선발했다.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센터 실험 결과, 관개수 염 농도가 0.4% 이하일 때 고구마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삽식 후 30일 이내 초기 생육은 다소 지연됐지만, 이후에는 회복돼 정상적으로 생장했다.

 


덩이뿌리(괴근) 수확용으로는 ‘호풍미’, ‘소담미’, ‘단자미’, 지상부(잎·줄기 포함) 수확용은 ‘통채루’, ‘소담미’ 수량성이 높았다.


덩이뿌리 생체수량은 ‘호풍미’가 헥타르(ha)당 약 51톤으로 가장 많았고, ‘소담미’는 39톤, ‘단자미’는 28톤이었다. 지상부 말린 수량은 ‘통채루’가 헥타르당 약 7톤으로 가장 많았고, ‘소담미’ 4.1톤, ‘호풍미’ 2.8톤 순이었다. 지상부의 루테인, 폴리페놀산 등 기능성 물질 함량도 일반 노지 재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한, 관개수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고구마 식물체의 나트륨(나트륨이온(Na+)) 함량도 증가했다. 특히 지상부보다 덩이뿌리에서 나트륨이 더 많이 축적됐고, 고구마 짠맛이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특성으로 간척지에서 재배하는 고구마가 식용보다는 산업용에 더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염 농도 변화는 기능성 성분에도 영향을 미쳤다. 고구마 지상부의 루테인 함량은 관개수 염 농도 0.2%, 폴리페놀산 0.4%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짠맛을 유발하는 염분이 오히려 고구마 식물체 내 기능성 물질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센터 고종철 센터장은 “새만금간척지는 밭작물 재배지로 조성돼 다른 간척지에 비해 염 농도가 낮고, 대규모 농경지가 형성돼 있다.”라며, “향후 산업용 고구마 원료곡을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지면, 수입 원료곡과 경쟁에서도 뒤처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들 발끈...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강력 반대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은 7월 16일(수) 14시부터 서울 용산구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미국 측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통상 당국이 상호관세 조정 협상 카드로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완화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농촌 현장의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산 농축산물의 5위 수입국으로 한-미 FTA 발효 후 사실상 농축산물 관세를 대부분 철폐하였으며, 그 결과 지난 15년간 대미 수입은 56.6%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세·비관세 장벽의 추가 해소 시 사실상 완전 개방에 가까워 국내 농업생산기반의 붕괴마저 우려된다. 특히 동식물 위생·검역 및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등 비관세 장벽 규제 완화는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사안으로 단순히 농업인만의 문제라 볼 수 없다. 이에 한농연중앙연합회 및 시·도연합회 임직원 40여명은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성 확보와 5천만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거리로 나서게 되었다. 한농연은 기자회견 개최 후 220만 농업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