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종이팩 재활용 체계 마련 촉구 기자회견 “멸균팩 어디로 가야 하죠?” 

- (사)소비자기후행동과 아이쿱생협 13개 조합, 환경부의 ‘종이팩 분리배출함 설치 확대 약속 이행’ 촉구
- 환경부, 하반기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 전국 확대 언급했으나 시행되지 않아
- 100% 재활용 가능 자원인 종이팩, 수거 체계 미흡 등으로 재활용률 15.8%에 그쳐

 

(사)소비자기후행동(김은정 상임대표, 이하 소비자기후행동)은 어제(4일) 세종 정부청사 환경부 앞에서 ‘종이팩 재활용 체계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소비자기후행동과 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아이쿱생협) 13개 조합은 환경부에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체계 마련 ▲종이팩 분리배출함 설치 확대 약속 이행 ▲지자체 종이팩 적극 수거를 위한 시행 지침 마련을 요구했다. 

작년 12월, 환경부는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 운영에 나섰다. 남양주시, 부천시, 화성시, 세종시 내 66개 공동주택 단지에서 일반팩과 멸균팩을 구분 배출하도록 했다. 또한, 올해 하반기부터 사업 규모를 전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인프라 부족 등을 이유로 시행하지 않고 있다.

 


소비자기후행동 김은정 상임대표는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종이팩 재활용률은 15.8%에 그친다. 2017년 22.5%, 2018년 22.3%, 2019년 19.9%로 감소세를 보이더니 2020년에는 15.8%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환경부는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분리배출함 설치 확대 약속 이행을 비롯한 종이팩 재활용 체계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비자기후행동 이은선 공동대표는 종이팩의 자원순환 가치를 언급했다. “종이팩에 사용되는 펄프는 일반 폐지와 달리 화장지나 페이퍼타월 등으로 재활용 가능한 고급 자원이다”라며 “특히 멸균팩은 100%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회수된 멸균팩의 종이는 페이퍼타월로, PE나 알루미늄 소재는 유통·건축자재, 생활용품 등으로 활용된다. 유럽에서는 이를 적극 수거, 재활용하고 있다. 벨기에의 멸균팩 재활용률은 84% 수준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홍성아이쿱생협 박서현 이사장은 “환경부의 미온적 조치로 종이팩이 폐기될 위기에 처하자 아이쿱생협 전국 30만 조합원이 직접 나섰다. 지난 21년 6월부터 1년 동안 아이쿱생협이 자발적으로 회수한 종이팩은 수거량은 250t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플라스틱 생수병을 줄이는 ‘No 플라스틱 캠페인’ 서약 참여자가 43만 명을 넘어섰다. 이들의 활동으로 대체한 플라스틱 생수병은 약 8천4백만 개 수준이며. 이로 인한 탄소 감축량은 4,623톤CO2e에 달한다. 기후위기에 대응해 플라스틱 대신 종이팩 등 탄소배출을 저감한 대체재를 찾아 소비하고 불편함을 감수하며 분리배출을 하고 있으나, 자원순환의 주체로서 환경부의 노력은 이에 미치지 못해 유감이다”라고 말했다.

 


소비자기후행동, 아이쿱생협 13개 조합은 성명서를 통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 환경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환경부는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는 데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적극적 행동을 촉구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