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글루텐 프리-쌀’로 속을 편안하게

한국쌀가공식품협회, 국내 글루텐 프리 식품 인증 길 열어…단체표준 등록 완료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회장 김문수)는 ‘글루텐 프리 식품 단체표준’을 한국표준협회에 등록하였다.

 

이로써 글루텐 프리(gluten free) 식품 인증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협회는 대표적인 글루텐 프리 식품인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는 1,200여 개의 회원사 등 쌀가공식품 제조업체 중심으로 인증 활성화 및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협회는 지난 2016년 이래 해외에서 열리는 글루텐프리 박람회에 꾸준히 참가하며 시장조사를 통해 쌀가공식품이 글루텐 프리 대표되는 식품으로 해외 수출 시장가능성을 보고 국내 인증제도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글루텐 프리의 세계시장 규모는 2024년까지 70억 달러(한화 약 8조 원)로 예상되며 2025년까지 연간 9.5%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글루텐(Gluten)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 단백질 일종으로 주로 밀, 기타 곡류 등에 들어있다. 글루텐프리(Gluten Free)는 이러한 글루텐 성분이 없는 식품을 얘기하며, 쌀에는 글루텐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글루텐을 함유한 밀을 주식으로 섭취하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글루텐 성분이 없는 식품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또한 글루텐을 잘 소화시키지 못하는 글루텐 민감성(gluten sensitivity) 체질을 가진 소비자에게 건강식품으로서 글루텐 프리 식품 시장에서 쌀가공식품은 프리미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국내는 글루텐 프리 식품에 대한 명확한 기준 및 인증제도가 없어 세계 글루텐 프리 식품 시장 수요에 대응력이 부족한 실정이며, 국내 제조사가 해외 글루텐 프리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협회는 글루텐 프리 식품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세계시장에서 국내 식품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글루텐 프리 식품 단체표준을 제정하여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글로벌표준인증원과의 업무협약을 맺고 글루텐프리 단체 표준안을 개발하는 등 인증사업을 꾸준히 진척시키고 있다.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글루텐 프리 인증을 받을 수 있게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내년에는 해외에서 국내 글루텐 프리 인증이 동등하게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북미·유럽의 인증기관과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글루텐 프리 식품 인증 활성화를 통해 쌀가공식품산업 시장 대응력을 강화시키고, 국내 쌀가공식품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되며, 글루텐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권익 또한 보호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나하은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검역본부, 압수물품 퇴비화... 농가 무상 제공
농림축산검역본부 중부지역본부(지역본부장 노영호)는 압수한 불법 수입 농산물 33톤(중국산 건대추·땅콩·녹두) 시가 9억 원 상당을 퇴비화하여 강화군 지역 농가에 무상 제공할 계획이다. 압수된 물품은 지난 설 명절 국경검역 강화 기간 중 불법으로 수입하려다 적발된 것으로, 식물검역 결과 병해충이 검출되지 않아 ‘식물방역법’상 퇴비화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중부지역본부는 환경오염 방지, 예산 절감, 지역사회 공헌 등 여러 가지 공익적 측면들을 고려, 압수한 물품을 소각하는 대신 퇴비화하여 활용하기로 했다. 지난 3월 한 달간 퇴비화 처리를 위한 ‘사업장 폐기물 배출자 신고’와 ‘재활용 가능 퇴비원료 사전 확인’ 등 ‘폐기물관리법’상 모든 절차를 마쳤다. 현재 강화군 소재 폐기물재활용 업체에서 6개월간 발효 공정을 진행 중이며, 9월부터 퇴비로 생산되어 농가에 무상 제공될 예정이다.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계분(鷄糞) 등 여러 원료와 혼합 후 6개월 간의 발효 공정을 거쳐 약 330톤 정도 생산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최소 88,000㎡ 이상의 면적에 공급할 수 있는 분량이다. 또한, 생산된 퇴비는 토양 비옥도 증진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검역본부 중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