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고랭지 재배 적합한 조생종 벼 품종 ‘진평’ 개발

- 주요 병해에 강하고 쌀 겉모양 우수… 밥맛도 좋아

- 도정수율은 77.8%, 백미완전립률은 95.4%로 높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병에 강하고 밥맛과 쌀 겉모양이 우수한 고랭지 적응 조생종 벼 품종 ‘진평’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중산간지와산간지는 봄철 기온이 낮고, 가을철 추위가 빨리 오는 기후 탓에 대부분 생육기간이 짧은 조생종 벼를 재배한다.

 

고랭지와 중산간지․산간지 쌀 재배 농가에서는 추석 전 쌀 출하를 위해 이삭 패는 시기(출수)가 빠르고 병에도 강한 품종 개발을 적극 요구했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은 고랭지 적응 벼 품종을 여럿 개발했지만, 다소 병에 약하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이번에 개발한 ‘진평’은 고랭지, 중산간지 및 동북부 해안지 등지에서 재배하기에 알맞은 조생종이다. 또한, 주요 병해인 도열병, 흰잎마름병(케이(K)1~케이(K)3),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복합내병성 품종이다.

 

‘진평’ 쌀은 심복백이 없어 겉모양이 맑고 투명하며, 밥맛이 매우 우수하다.

도정수율은 77.8%, 백미완전립률은 95.4%로 높다. 수발아율(이삭싹나기 비율)은 19.9%로 낮은 편이며, 쌀 수량은 10아르당 527kg으로 ‘진부벼’보다 약간 많다.

 

 

‘진평’ 쌀을 재배할 때, 질소질 비료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벼가 쓰러지거나 쌀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정 시기에 적절한 양의 비료를 주어야 한다.

 

‘진평’ 종자는 국립식량과학원 종자 정기 분양 신청 시기(매년 1∼2월)에 해당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분양된다.

‘진평’ 품종에 대한 궁금한 점은 농촌진흥청 중부작물과(033-254-6328)로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 중부작물과 김기영 과장은 “‘진평’은 중산간지와 산간지 기후에 적합하면서 쌀 품질이 좋고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한 조생종 벼이다.”라며 “앞으로도 ‘진평’과 같은 우수한 조생종 벼 품종 개발과 보급에 주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팜스코, '양돈' 데이터 기반 현장 솔루션 강화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양돈 지역부장 및 팀장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양돈 스페셜스쿨’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양돈 농가의 생산성과 관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실무 중심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이번 스페셜스쿨은 전국 4개 영업본부별로 진행되었으며, 각 본부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스페셜 교육 세션이 이어졌다. 교육에서는 양돈장 분뇨처리 프로세스 이해와 함께, 농장 성적 분석 Tool인 ‘피그지오(Piggo)’ 활용 교육이 중점적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실제 농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적을 진단하고, 원인 분석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실습을 수행했다. 또한 하림중앙연구소의 LIMS(사료 및 병성감정 분석 시스템) 교육을 통해 품질 관리와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번 스페셜스쿨의 핵심 주제였던 ‘피그지오 실습 교육’에서는 팜스코에서 활용하는 농장 전산 프로그램을 직접 활용해 데이터를 입력·분석하고, 개체 성적 및 생산성 지표를 점검하는 과정을 실습했다. 참석자들은 조별로 실제 거래 농장의 사례를 분석하며 문제점을 찾아 개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