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NH콕뱅크' 가입고객 700만명 돌파

-이성희 회장 “농협 디지털 플랫폼 성장과 새로운 서비스 꾸준한 노력할 것”

- 출시 4년 8개월만…디지털 농협 대표 플랫폼으로 위상 높여

-NH콕뱅크는 금융상품몰 개선, 고객 행동패턴 분석 솔루션 도입, 자산관리 강화

 

 

농협(회장 이성희) 상호금융은 23일 간편 모바일 플랫폼 NH콕뱅크 가입고객이 출시 4년 8개월만에 7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NH콕뱅크는 2016년 7월 쉽고 편리한 금융거래를 위해 농협 상호금융이 선보인 디지털 플랫폼이다. 기존 모바일 뱅킹에 더해 ▲ 농업인 맞춤형 영농정보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콕팜’, ▲ 농·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콕푸드’를 탑재하며 농업인의 디지털 권익 증진에 기여하는 멀티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최근 농협은 NH콕뱅크에 다양한 서비스를 접목해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작년 12월 오픈뱅킹을 도입했고, 지난달 21일에 개인 데이터(My Data)와 공공정보를 결합한 MY콕을 런칭하여 이용자는 건강정보, 부동산 정보, 귀농·귀촌정보, 복지·정책자금 등 다양한 관심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향후 NH콕뱅크는 ▲금융상품몰 개선 ▲고객 행동패턴 분석 솔루션 도입 ▲본인확인 절차 간소화 및 송금 한도 상향 ▲자산관리 서비스 강화 등 고객 만족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여러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성희 농협중앙회장은 “NH콕뱅크 가입고객 700만명 달성이 있기까지 변함없는 성원과 사랑을 보내주신 고객분들께 감사드린다”며 “새로운 서비스를 지속 도입하는 등, 농협 디지털 플랫폼의 성장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