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쌀값 불안불안...‘나라미’ 18만톤 풀기로

-연평균 쌀 생산량은 401만톤...지난해 351만톤 수확돼 전년대비 6.4%↓큰폭 감소

-정부, 쌀 수급안정 위해 1~2월 중 정부양곡 18만톤 공급

-당초 공급 예정물량 37만톤 중 공급하고 남은 물량 19만톤은 3~6월 중 공매를 통해 공급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0년산 쌀 생산량 감소 등을 감안하여 1~2월 중 산물벼 인수도와 2차례 공매를 통해 18만톤 수준을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연평균 쌀 생산량은 401만톤으로 (`19) 374만톤→ (`20) 351만톤으로 전년대비 6.4%↓감소했다.

 

우선, 지난해 수확기 산물벼로 매입한 공공비축미 8만톤(벼 기준 11만톤)은 산지유통업체 인수 의향 조사(1.6~8일)를 거쳐 1월 11일부터 인도한다.

공공비축 산물벼 매입량은 전국적으로 8만 2천톤(경기 5, 강원 4, 충북 4, 충남 16, 전북 9, 전남 13, 경북 13, 경남 15, 광역시 3) 등 이다.

 

산물벼 인도와 함께, 설 명절을 앞두고 떡쌀 수요 등을 감안하여 1월 중 `18년산 4만톤, 설 이후 `19년산 6만톤을 차례로 공급(도정업 신고업자 대상)한다.

특히 `18년산 4만톤은 떡집 등 영세자영업자의 쌀값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1월 14일 입찰하여 설 전인 1월 19일부터 인도하고, `19년산 6만톤은 설 이후인 2월 18일 입찰하여 2월 24일부터 인도할 계획이다.

 

산물벼 인수도 및 공매는 과잉 경쟁을 방지하고 실수요업체 중심으로 물량을 공급하기 위해 벼 상태로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3개월 이내에 쌀로 판매하도록 하였다.

이번 공급은 지난해 11월 25일 `20년산 쌀 공급 부족을 감안하여 수확기 이후 정부양곡 37만톤 내외를 시장에 단계적으로 공급하기로 한 수급안정 보완대책에 따른 후속 조치이다.

 

농식품부는 산지유통업체들의 안정적․계획적인 원료곡 확보와 쌀 수급 안정을 위해 `21년 정부양곡 공급예정 물량(37만톤 내외) 중 18만톤은 이번에 공급하고, 잔여물량(19만톤 내외)은 3~6월 중 공매(매월)를 통해 시장에 나누어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건전한 시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낙찰업체를 중심으로 연산혼입, 양곡표시제도 위반 등에 대한 집중 단속도 병행한다.

 

농식품부 박수진 식량정책관은 “이번 조치를 통해 시중에 부족한 쌀 물량을 적기에 공급하고, 앞으로 전체적인 정부양곡 공급 일정을 제시함으로써 산지유통업체 등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식품부, 선제적 폭염 대응...농업분야 피해 최소화 총력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7월 4일 농업재해대책상황실에서 강형석 차관 주재로 여름철 폭염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분야 폭염 예방대책 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장마 정체전선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장마가 종료되고,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당분간 폭염과 열대야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폭염으로 인한 농업인 온열질환과 농·축산물 생육 및 사육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중이다. 이번 회의는 농식품부 각 소관 부서 및 지자체, 농진청, 농협 등이 참석하여 농업인 안전·원예·가축 등 각 분야별로 그간 폭염 피해 사례 분석과 피해 예방 추진사항을 논의하였다. 작년 폭염으로 인해 생육이 저하되는 등 피해가 컸던 원예, 시설작물 등을 중심으로 폭염 시 농가에서 이행할 수 있는 관리 방안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지원 정책 등을 논의했다. 아울러, 가축 폐사가 우려되는 축산농가에 대해서도 피해 현황을 분석하고 행동 요령을 점검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 농작물의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관수량 조절, 시설하우스 차광망 설치 등 기온을 낮출 수 있는 농업 활동이 필요하다. 가축 폐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