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식량자급률 목표 미달…밀‧콩 곡물자급률 저조 ‘심각’

박완주 의원 “각 품목별로 식량자급률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 시급하다”

식량자급률 목표 미달콩 곡물자급률 저조 심각

박완주 의원 각 품목별로 식량자급률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 시급하다

 

국민들의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위한 정부의 식량자급률 목표 달성이 저조해 자급률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더불어민주당 박완주의원(사진·천안을)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식량자급률 목표치 설정 계획 및 목표 달성률을 조사한 결과로, 농림부가 수립한 2015년 식량자급률(잠정)은 목표치(57%)보다 6.8% 낮은 50.2%로 드러났다.

 

 

식량자급률은 나라의 식량 총생산량 중에 국내생산량으로 공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식량자급률이 낮아지면 안정적인 식량수급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연도별로 2012(45.7%)~2013(47.5%) 1.8% 증가 2013(47.5%)~ 2014(49.7) 2.2%증가 2014(49.7%)~ 2015(50.2%) 0.5%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나 2011년 정부가 설정해 놓은 2015년도 식량자급률 목표치(57.0%)는 달성하지 못했다.

 

품목별로는 101%(목표 98%) 보리쌀 22.3%(목표 31%) 1.2%(목표 10%) 32.1%(36.3%) 서류 104.5%(목표 99%)로 쌀과 서류를 제외한 보리쌀, , 콩은 자급률이 저조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197080.5%, 198056.0%, 199043.1%, 200029.7%, 201027.6%, 201523.8%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해외 의존도 역시 76.2%로 증가하고 있다.

 

박완주 의원은 곡물자급률이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2의 곡물가격폭등이 올 경우 우리 경제에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며 곡물자급률 확보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지난해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지면적은 역대 최저인 1679ha를 기록했는데, 주된 요인은 도로 건설, 도시 확장 등에 따른 농지전용으로 인한 경지면적 감소에 있다.

 

2016년 농촌경제연구원 연구 자료에 의하면 2020년까지 식량자급률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752000ha가 필요한데, 현재의 감소 추이를 감안할 때 목표달성은 요원한 상황이다.

박완주 의원은 낮은 식량자급률로 식량안보가 위협을 받고 있다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내 최대 과일축제!...'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11월 27일 개막
국내 과수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수 전문 박람회, 제15회‘2025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 오는 11월 27일(목)부터 29일(토)까지 3일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개최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전국 주요 과수주산지농협과 과수농가, 연구기관, 유통업체, 소비자 단체 등이 함께 참여해 과수산업의 미래 발전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올해 박람회는 전국 각지에서 생산된 신선한 과일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미! 흥미! 꾸러미!라는 3미전략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수 있는 다양한 전시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행사기간동안 ▶올해 최고의 과일을 선발하는 2025년 대표과일선발대회 시상식, ▶다양한 신품종 과일을 맛볼 수 있는 신품종 팝업스토어, ▶유명가수 축하공연 및 과일요리대회, ▶싱싱하고 저렴한 과일직거래장터 등이 운영된다. 특히 올해에는 우리과일의 새로움을 기대할 수 있는 과일칵테일바, AI 사진관, 우리과일 실감체험, 과일 탐험대 등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즐기면서 국산과일을 자연스럽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