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박기훈 농진청 중부작물부장 ‘곡물자급률 높여 나갈 것'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북부 농업연구 중심으로 새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지난 1월 직제개편에 따라 신설된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의 현황과 중점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박기훈 중부작물부장을 만나 앞으로 사업추진 계획과 방향에 대해 얘기를 들어 봤다.<편집자>

 

중부작물부에 대한 현황질문에 박기훈 부장은 우리 중부작물부는 중부작물과, 수확후이용과, 재배환경과 등 372명으로 구성됐고, 2출장소(춘천·철원) 4시험지(이천, 연천, 진부, 남양)를 관할하고 있어요. 중부작물부의 중부작물과는 중·북부지역에 잘 적응하는 주요 식량 작물 품종을 개발하고, 수확후이용과는 식량 작물의 수확 후 관리와 소비 확대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게 됩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부장은 재배환경과는 ·북부 지역에 알맞은 작물별 재배 순서를 개발하고 토양 비옥도를 높이고 병해충 방제 기술 연구를 추진한다.”고 설명을 이어갔다. “더불어, 통일에 대비해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북방 농업 연구 기반을 갖출 전진기지 역할도 맡는다. 올해 중부작물부는 식량 작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산업화 연구를 확대함과 동시에 중·북부 지역의 식량 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반을 갖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식량작물 소비확대와 관련한 질문에서는 국산 식량 작물의 소비 확대를 위해 원료곡의 품질 관리와 기준을 설정하고, 가공 제품별 최적 품종 선발과 농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가공제품화 기술을 개발해 산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부장은 또 중부 지역 맞춤형 종자 생산 기술과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북부 지역의 농업 환경이 북방 지역과 비슷한 장점을 살려 북방 지역 기상정보를 활용한 작물 생육 반응 연구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중부작물부는 곡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중·북부 지역 작물별 재배 조합(작부체계)을 개발해 권역별 거점 단지를 조성·확대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설명을 마친 박기훈 부장은 우리나라 인구의 61%가 집중돼 있으며, 국내 식품산업체 중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밀집해 있어 중부작물 연구의 기능 강화가 필요했다.” 라며, “앞으로 중부작물부는 식량 작물의 지속적인 소비 확대를 위한 가공·이용 기술 개발과 중·북부 지역에 알맞고 현장 적응성이 높은 농업 기술 개발을 강화함과 동시에, 다가오는 통일시대를 대비해 북방 농업 연구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해 거는 기대가 크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