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제주감귤박람회’ 11월 12일 개최… ‘감귤꽃 페스티벌’ 이벤트

제주특별자치도, 6월 15일까지 ‘아는 감귤 댄스챌린지’ 등 이벤트 진행 중
양병식 조직위원장 “코로나19로 인해 감귤꽃 페스티벌을 취소하고 흐름에 맞게 추진”

2020 제주감귤박람회가 오는 11월 12일부터 16일까지 5일간 서귀포농업기술센터 일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정대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사)제주국제감귤박람회조직위원회(위원장 양병식)가 주관하는 ‘2020 제주감귤박람회’ 사전 홍보행사로 ‘감귤꽃 페스티벌’ SNS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동참을 위해 ‘감귤꽃길 걷기’ 오프라인 행사를 온라인 행사로 대체 진행한다.

행사기간은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한 달간 진행하며 사전 이벤트 △온라인 감귤꽃 페스티벌 소문내기와 메인 이벤트 △아는감귤 댄스챌린지 △감귤퍼즐 맞추기 게임 등 3가지이다.

 

경품으로는 ‘온라인 감귤꽃 페스티벌 소문내기’ 참가자 40명을 추첨해 제주하우스감귤 3kg, ‘아는감귤 댄스챌린지’ 춤신춤왕상 5명 애플 에어팟 프로와 감귤박람회 한정케이스, 심쿵상 20명 감귤꽃 꿀, 노력이가상 50명 제주하우스감귤 3kg, ‘감귤퍼즐 맞추기 게임’ 200명에게는 제주감귤 비누를 증정할 예정이다.

 

‘아는감귤 댄스챌린지’는 제주감귤박람회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 팔로우 후 아는감귤 댄스 배우기 영상을 보면서 연습하여 댄스영상을 올리거나 댄스 특정포즈 사진을 해시태그(#제주감귤박람회, #아는감귤댄스_챌린지, #감귤꽃페스티벌)와 함께 자신의 SNS계정에 올리면 된다.

 

‘감귤퍼즐 맞추기 게임’은 제주감귤박람회 홈페이지 회원 가입 후 참여할 수 있다.

 

양병식 조직위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분들을 위해 감귤꽃이 만개하는 5월에 진행했던 감귤꽃 페스티벌을 취소하는 대신 언택트 시대의 흐름에 맞게 온라인 이벤트로라도 진행하여 감귤꽃 페스티벌 취소를 아쉬워하는 국민들에게 즐거움을 드리고자 준비했다.”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봉협회, 세계 꿀벌의 날!... 슬로베니아 한국대사관과 협약체결
한국양봉협회는 5월 20일, 서울 슬로베니아 대사관에서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와 한국양봉농협이 양봉 6차산업 혁신과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2년간 유효하며 이견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2년씩 그 효력이 연장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는 “양국의 양봉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세계 꿀벌의 날이 슬로베니아에서 UN에 건의하여 지정된 만큼 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꿀벌의 날’이 정부 공식 기념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며 꿀벌의 날의 공식 기념일 지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호 회장은 “슬로베니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선진양봉국가로 꿀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봉문화와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꿀벌 질병예방·관리 시스템은 우리가 배우고 도입해야할 중요 모델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양봉산업이 한단계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라며, 업무협약에 대한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양국은 꿀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공동 홍보 활동도 함께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업무협약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