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올해 농업생산액 '50조 4,380억원'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올 농업생산액 50조 4,380억원...'농업전망대회' 여전히 관심 커
쌀·감자 생산액 증가로 곡물류 생산액 전년대비 1.3% 증가
마늘·양파 생산량 감소로 채소류 생산액 전년보다 3.7% 감소
축잠업 생산액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 8,660억 원
한육우 0.7%, 돼지 0.2%, 계란 3.8%, 오리 5.3% 증가
닭 생산액은 2.1% 감소될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월 22일 서울 잠실에서 농업전망보고대회를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올해 2020년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50조 4,380억 원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또, 2019년 농업생산액은 전년보다 0.8% 증가한 50조 4,280억 원으로 추정치를 발표했다.

쌀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하고, 돼지·오리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0.3% 감소한다.

 

2020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4% 감소한 30조 5,72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쌀·감자 생산액 증가로 곡물류 생산액 전년 대비 1.3% 증가한 반면, 엽근채소(가을작형) 가격하락과 마늘·양파 생산량 감소로 채소류 생산액 전년보다 3.7% 감소한다.

2020년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 8,660억 원이며, 한육우 0.7%, 돼지 0.2%, 계란 3.8%, 오리 5.3% 증가하나, 닭 생산액은 2.1%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농가소득 이전소득 증가에 힘입어 4,500만 원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공익직불제 도입의 효과로 이전소득은 전년보다 15.2% 증가한 1,144만 원이며, 농업총수입은 증가해, 18년·19년산 쌀변동직불금 지급 효과 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1,295만 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2.9%, 1.9% 증가가 예상된다.

2020년 농업교역조건은 전년보다 소폭 악화될 전망이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투입재 가격 상승과 노임 및 임차료 상승하여 농업구입가격 전년보다 1.2% 상승이 예상된다.

투입재비 1.5%, 노임 2.8%, 임차료 1.1% 상승하나, 가축비 1.8% 하락할 전망이다.

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농가판매가격은 전년보다 0.8% 상승이 예상된다.

채소는 4.5%, 과실 3.2% 상승하나, 곡물 0.6%, 축산물 2.2%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감소하나,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증가할 전망이다.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1.5% 감소한 224만 명, 농가호수는 0.7% 감소한 100만 호가 예상된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 전년보다 0.7%p 증가한 46.2%로 고령화가 심화되고,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 이어져 전년보다 1% 증가한 141만 명이 예상된다.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전년보다 0.6% 감소하여 각각 158만 ha, 164만 ha가 전망된다.

농가인구당 경지면적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70.4a이다.

2020년 가축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육계·오리 증가로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1.0% 증가한 196백만 마리가 예상된다.

식품소비행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수입과일 소비 증가와 곡물‧채소류 감소가 전망된다.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수입과일과 육류 소비는 연평균 각각 1.5%, 0.7% 증가하는 반면, 곡물과 채소는 각각 0.9%, 0.4% 감소 될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전망분석을 내놨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