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쌀 ‘재고과잉’ 탓에 쌀값 0.2% ‘떨어져’

쌀 RPC창고 전년대비 43% 넘쳐… 산지 창고업계 ‘재고과잉 호소’

GS&J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15일 산지 쌀값은 80kg당 19만 1,104원으로 10일 전보다 0.2%(428원) 하락하였다.

산지 쌀값은 작년 10월 5일에 19만 4,772원/80kg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하락률 0.1% 미만의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다가 올해 4월 15일 이후 하락률이 0.2% 내외로 높아졌다. 

5월 1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수확기(10∼12월) 평균가격 19만 3,568원보다 1.3% 낮은 수준이다.

 

작년 수확기 가격 대비 역계절진폭은 1월 0.2%에서 2월 0.3%, 3월 0.4%, 4월 0.7%로 커졌고, 5월에도 5일과 15일 각각 1.1%, 1.3%로 확대되고 있다.

5월 1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같은 일자 가격 17만 2,608원/80kg에 비해 10.7%(1만 8,496원) 높은 수준이다.  

 

전년 동일 대비 상승률은 작년 7월 5일 38.7%로 최고치를 경신한 후 꾸준히 낮아지고 있고, 5월 15일에는 10.7% 수준을 보였다.

한편, 평년 같은 일자 가격 15만 7,419원/80kg에 비해 21.4%(3만 3,685원) 높은 수준이다.

산지 쌀값은 작년 2월 이후 평년 동일자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평년 가격 대비 상승률은 작년 12월 5일 24.2%를 기점으로 점차 낮아져 올 5월 15일에는 21.4%였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평원, '제2회 양잠인의 날' 행사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5월 9일(금)부터 10일(토)까지 이틀간 경기도 수원 국립농업박물관에서 ‘제2회 양잠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되는 기념행사에서는 양잠 관련 종사자들이 모여 양잠의 가치를 알리고 일상에서 누에를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제품 전시와 체험 활동을 제공할 계획이다. ‘제2회 양잠인의 날’ 기념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축산물품질평가원과 잠사회 그리고 국립농업과학원의 준비로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양잠산업의 전통과 소중함을 알리고, 미래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기념식 △풍잠 기원제 △양잠 혁신 심포지엄 △기능성 양잠 제품 전시·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 첫날은 △양잠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표창 △양잠산업 종사자 간의 화합과 다짐을 위한 선언식 △양잠산업의 풍년과 발전을 기원하기 위한 ‘풍잠 기원제’ 행사를 통해 양잠산업의 전통을 이어간다. 양잠 혁신 심포지엄에서는 산업과 학계 등 전문가들이 모여 양잠 전후방 산업 현장 사례를 발표하고 미래 전망과 지속 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토론을 진행한다. 특히, 가족 단위 관람객 등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누에를 활용한 기능성 제품과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