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이번 동절기 월동꿀벌 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농가의 봄철 봉군 조기 회복을 위한 대응체계를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양봉협회 조사 결과 올해 초 ’21/’22년 동절기 월동 중 피해를 입은 꿀벌은 약 269만 봉군(’21.12월 기준) 중 약 40만 봉군(80억 마리)로 조사되었다.
농촌진흥청의 피해원인 조사 결과 ’21년 봄철 작황부진으로 꿀벌의 활동량과 먹이가 부족해 면역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응애와 말벌 등에 의해 꿀벌이 폐사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올해 봄 채밀기(4~5월)에 좋은 기후가 계속되고 밀원수 작황이 양호하여 상반기까지는 벌꿀 생산이 평년보다 15% 증가하였고, 꿀벌 번식도 양호해 지난 겨울철 피해를 대부분 회복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많은 양봉농가에서 벌꿀, 로열젤리 등의 양봉산물을 8월까지 생산하면서 응애 방제 적기인 7월에 방제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응애가 급속히 확산되어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늘어난 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방제제를 과다하게 사용함에 따라 꿀벌 면역력이 약화되고, 폐사하는 현상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농가들이 응애 방제를 위해 수년간 동일한 성분(플루발리네이트)의 방제제를 지속 사용하여 방제제 내성이 발생하였고, 11월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방제제에 내성을 가진 응애가 전국에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올해 겨울철에도 꿀벌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관계기관과 전문가 등의 공통된 의견이다.
실제로 11월에 꿀벌 월동에 적합한 기상조건 보다 온화한 날씨가 이어진 상황에서 응애 피해를 입어 면역력이 떨어진 꿀벌들이 월동에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 활동을 하다 폐사한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초에 발생한 꿀벌 폐사로 피해를 입은 농가에게 생산기반 복구와 경영안정을 위하여 농축산경영자금을 지원하고, 추가 피해방지를 위해 꿀벌응애 및 꿀벌질병 방제를 위한 약품을 신속히 지원하였다.
또한 꿀벌 폐사 현상의 원인 규명 및 피해 재발 예방을 위해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 생산자단체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4월부터 현장을 점검해 왔다. 농촌진흥청·생산자단체는 양봉농가를 대상으로 응애 적기방제 및 적정 방제방법, 월동꿀벌 사양관리 방법 등을 교육하고, 피해농가에는 자문(컨설팅)을 지원해 왔다.
8월부터 방제제 내성 응애 피해 등이 현장에서 확인됨에 따라 정부지원 약품 선정 시 동일한 방제제를 선정하지 못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다른 성분의 방제제 교차 사용, 숫벌방을 통한 꿀벌응애 유인·방제, 다양한 성분의 방제제를 소량 투입 후 방제 효과가 뛰어난 방제제 사용 등 방제제에 내성을 가진 응애 방제요령을 농가에 재차 전파․교육하고 방제요령 실천을 독려하였다.
농식품부는 정상적으로 월동에 들어간 봉군을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내년 봄철 꿀벌이 원활히 번식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를 위해 월동 봉군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꿀벌이 월동에 들어간 농가를 대상으로 벌통의 일정 이하 온도 유지, 충분한 먹이 급여 등 적정 관리방법을 집중 교육․지도하여 월동기 폐사를 최소화한다.
겨울철 기후가 따뜻하여 여왕벌이 산란을 하게 되면 월동기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의 수명이 5개월에서 1개월로 짧아져 월동이 어려워진다.
상대적으로 기후가 따뜻하여 여왕벌이 산란·번식이 가능한 제주와 남부해안 지역에 대해서는 지자체 농업기술원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가온판 설치, 온실 활용 사육 등을 통해 봉군 세력이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봄철 타 지역으로 신속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봉협회를 통해 피해를 입지 않은 우수 양봉농가의 관리 사례도 발굴하여 관리 요령을 농가에 적극적으로 전파해나갈 계획이다.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조치방법을 제시하여 그동안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던 농가의 사양관리도 개선해 나간다.
한편, 농촌진흥청과 지자체는 일부 농가와의 협력을 통해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한 저온저장고를 이용하여 월동하는 방법, 여왕벌 산란 시 온실 등을 활용해 사육하는 방법 등을 시범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성을 검증해 나갈 계획이다.
원활한 월동 꿀벌 피해 대책 추진을 위해 농식품부와 각 시도, 시군구에 ‘월동 꿀벌 피해 대책반’을 구성하여 정상적으로 월동에 들어간 양봉 농가의 피해 발생 여부, 여왕벌 산란 여부 등 이상 발생 상황을 예찰하고, 응애 피해 및 월동 꿀벌 폐사 등에 대한 대응 방안도 지속적으로 전파할 계획이다.
벌통 내 온습도 등 환경조건 변화를 실시간 확인해 이상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장비가 시범 보급될 수 있도록 농가에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10월 농가를 대상으로 응애 방제약품을 추가 보급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전국 양봉농가에 방제제를 추가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월동이 끝나는 ’23.3월 이후부터는 농축산경영자금을 양봉농가에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보유 봉군의 확대와 봉군 구매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상봉군 사육 농장 정보 등에 대해서도 양봉농협, 양봉협회 등을 통해 농가에 제공함으로써 피해회복에도 주력해 나간다. 또한 응애, 질병 등의 발생 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발생 정도에 따라 관계기관과 농가의 대응 요령을 정하는 등 체계적인 위기대응 매뉴얼도 마련한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전국 시․도, 시․군 대책반 구성하고 월동 봉군 유지 관리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월동피해를 극복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선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을 당부하였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