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여성 농업인 51%...여성용 농기계 개발 필요

박주현 의원, ‘농촌 여성 전성시대’...‘여전히 농기계 개발은 남성 중심’

농촌 고령화에 따라 1980년 이후 여성농업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 51%로 남성을 앞지르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나, 여성 농업인을 위한 농기계와 편이장비 개발 지연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민주평화당에서 활동하는 박주현 의원(농해수위)이 농림축산식품부의 ‘2018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를 분석한 결과, 1982년 이후 여성 농업인구 비율이 남성 농업인구 비율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농가인구 대비 여성 농업인 수에서 △1982년부터 남성 4,836천명, 여성 4,848천명으로 여성이 12,000명 많은 것으로 나타난 후, △2000년 남성 1,971천명, 여성 2,060천명, △2010년 남성 1,501천명, 여성 1,562천명, △2017년 남성 1,184천명, 여성 1,238천명으로 농가인구 중 여성인구가 남성 인구를 앞서고 있다.

 

이와 함께 여성 농업인의 농기계분야 자격증 취득도 증가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농기계정비기능사를 취득한 여성 농업인은 114명, 2013년 이전에 없었던 농업기계운전기능사와 농업 기계 산업기사를 취득한 여성 농업인도 각각 25명과 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기계 운전교육 수료자의 여성농업인 비율은2013년 총 23,625명 중 4,134명(17.5%)에서2017년 총 39,080명 중 9,469명(24.2%)으로5,335명(6.7%)이 증가했다. 2018년 8월까지23.2%(5,958명)가 수료했다.

 

농촌진흥청은 여성농업인 증가에 따라 농기계 개발 시 여성 농업인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여성 친화형 농기계뿐만 아니라, 휴대용 자동전동가위 등 편이장비 13종을 개발하고 있다.

 

박주현 의원은 “40년 가까이 여성농업인의 비율이 51%였으므로 여성농업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를 개발할 시간이 충분했음에도 여전히 농업분야에서는 남성 위주로 농기계를 개발해 왔다”며 농식품부와 농진청을 비판했다.” 이어 박 의원은 “농작업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작고 가벼운 여성 맞춤형 고성능 농기계와 편이장비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라고 주장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