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밀크어트 챌린지’ 수상자 3인 '눈길끌어'

우유자조금관리워원회 “우유 마신 뒤 포만감 늘고 체중 줄어”

지난 11일, ‘2018 밀크어트 챌린지’의 수상자 3인이 밝혀졌다. 체중 23kg을 감량한 김현철 씨가 우승했고, 하재엽 씨와 김미진 씨가 2,3위에 올랐다. 이들은 체중 감량 비결에 대해 공통적으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기, 내 몸에 맞는 운동하기, 매일 우유 두 잔(400㎖) 마시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현철 씨가 밀크어트 챌린지에 도전하게 된 계기는 두 딸에게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그는 굶기와 폭식을 거듭하며 다이어트를 7번 실패했고, 밀크어트를 통해 건강을 되찾고 싶었다. 네이쳐휘트니스 김태진 관장이 칭찬할 만큼, 김현철 씨는 참가자들 중 가장 큰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참가자 중 몸무게 23kg 감소(111kg→88kg), 체지방률 14% 감소(32.6%→18.6%), 근육량 2.2kg 감소(69kg→66.8kg) 등 가장 큰 변화에 성공하며 최종 점수 570점을 받았다. 그는 밀크어트에 대해 “우유와 물 마시는 습관을 들이니 탄산음료를 안 찾게 됐다”며, “밀크어트를 하면 공복감이 줄어들어 운동할 때 도움이 되는 것 같고, 규칙적인 생활이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또 다른 아빠 참가자 하재엽 씨는 직장생활과 결혼을 거쳐 자기 관리에 소홀해졌고, 두 아이에게 멋진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밀크어트 챌린지를 신청했다. 그는 밀크어트를 통해 규칙적인 생활 패턴과 균형 잡힌 식단, 우유 섭취로 체중감량 효과를 톡톡히 봤다. 특히 “벨트가 두 칸 줄어든 걸 보면서 신체변화를 가장 실감했다”며, “우유를 마시면 배고픔을 덜 느껴서 예전보다 체중 감량이 더 수월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몸무게 14.1kg 감소(100kg→85.9kg), 체지방률 9.2% 감소(35.8%→26.6%), 근육량 0.2kg 감소(58.8kg→58.6kg)하며 최종점수 566점을 받았다.

 

김미진 씨의 경우, 굶기·약물 다이어트·주사요법 등 잘못된 방법으로 다이어트를 여러 번 실패한 뒤, 자신감을 되찾고 싶어서 밀크어트 챌린지를 찾았다. 그는 밀크어트에 대해 “나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찾았다”며, “운동 후 우유를 마시니 잠을 잘 자고, 배고파도 무작정 굶었던 예전과 달리 포만감이 생겨 간식을 안 먹게 됐다”고 전했다. 10주 뒤, 몸무게 3.6kg 감소(61kg→57.4kg), 체지방률 6.8% 감소(26.2%→19.4%), 근육량 1.8kg 증가(41.2kg→43kg)하며 최종점수 512점을 받았다.

 

도전자들은 밀크어트의 장점으로 ‘포만감’을 꼽았다. 이들이 배고프지 않게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은 우유의 칼슘·단백질·필수지방산 때문이다. 칼슘이 체내 지방과 결합해 분변으로 배출시키고, 지방 분해를 돕고 재흡수를 억제시키며, 단백질은 지방을 만드는 호르몬 생성을 억제해 지방 생성을 막아준다. 필수지방산의 경우, 지방 생성을 조절해 체내 지방을 줄이고 포만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WE클리닉 조애경 원장은 “밀크어트는 다이어트 시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을 보충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칼슘이 지방 축적 자체를 막아준다. 또한 지방산은 포만감을 주고 과식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밀크어트 챌린지 참가자 대부분 체중과 체지방량을 감량한 반면, 근육량과 영양소 손실은 최소화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내 몸에 맞는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 그리고 우유 섭취가 건강한 다이어트에 꼭 필요한 요소임을 입증했다. 앞으로 보다 많은 분들이 밀크어트에 관심을 가지고 도전해 보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