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박주현 의원, ‘쌀 생산조정제 실패?’...‘재배면적과 생산량 평년수준’

민주평화당 박주현 의원, 쌀 공급조절 보다 소비확대 우선...‘쌀 4종 세트’ 주장

쌀 생산량 감축을 위한 정부의 쌀 생산조정제 시행에도 불구하고 2018년 쌀 수급균형은 사실상 실패로 나타났다는 것. 이를 위한 대안으로 ‘쌀 4종 세트’(쌀 빵, 쌀국수, 쌀라면, 쌀 술)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확대로 쌀소비를 늘려서 소비확대를 통한 수급불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평화당에서 활동하는 박주현 의원(농해수위)이 지난 8월 30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8년 벼, 고추 재배면적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쌀 생산조정제 시행 첫해인 2018년의 벼 재배면적은 2017년 754,713ha에서 737,769ha로 16,944ha(2.2%)가 감소하여 평년수준으로 밝혀졌다. 지난 5년간 벼 재배면적은 2014년 815,506ha → 2015년 799,344ha(16,162ha,1.98%) → 2016년 778,734ha(20,610ha,2.57%) → 2017년 754,713ha(24,021ha,3.08%) → 2018년 737,769ha(16,944ha,2.2%)로 각각 전년 대비 1.98%, 2.57%, 3.08%, 2.2% 감소했다.

 

쌀 생산량은 2014년 4,240,739톤, 2015년 4,326,915톤 2016년 4,196,691톤, 2017년 3,972,468톤으로 감소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 2018년 6월호에 제시된 최근 5개년 평년단수(529㎏/10a)를 적용하여 2018년 벼 재배면적에 곱할 경우, 올해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약 1.75% 감소한 390만 톤 정도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농업관측에서 2018년 신곡예상수요량이 301만 6천 톤~309만 7천 톤으로 신곡시장공급량(313만 8천 톤)보다 약 4만 톤~ 12만 톤 정도 적을 것으로 추정한다. 10월 중순 통계청에서 공식 발표하는 쌀 예상생산량 발표까지 약 1달여 기간 동안 기상이변 등 큰 변수가 없다면 쌀 공급과잉에 따른 쌀 수급불균형이 나타난다.

 

박주현 의원은 “올해 처음 시행된 쌀 생산조정제는 감소한 면적은 평년 벼 재배면적 수준이었고, 다행히 심각한 자연재해가 전국에서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쌀 생산에 큰 지장을 주지 않았다. 올해 예상 쌀 생산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쌀 수급불균형은 생산을 줄이는 공급 측면에서 볼 것이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쌀 소비 촉진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농가소득 증가를 위해 ‘쌀 4종 세트’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식품 가공 부문에서의 통계청 쌀 소비량 조사결과 2016년 658,869톤에서 2017년 707,703톤이 소비되면서 48,834톤(7.4%)이 증가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한우의 날' 행사 잇따라 열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와 (사)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을 기념하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맞아 전국 한우농가들이 십시일반 거출한 한우자조금으로 전국 온·오프라인 대규모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은 2008년 처음 지정된 기념일로, ‘소(牛)’ 자에 들어 있는 숫자 ‘1’이 세 번 겹치는 11월 1일을 상징적으로 선택해 ‘한우의 맛이 최고·제일·으뜸’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 날은 국민 모두가 함께 한우를 즐기며 한우의 우수성과 가치를 나누는 한우 명절로 자리매김해왔으며, 매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고 있다. 이번 행사는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한우의 날’이라는 취지 아래, 평소 한우를 사랑해 주신 소비자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전국 한우농가의 진심을 담아 기획되었다. 28일 서울 종로구 교원 챌린지홀에서 열린 기념행사에는 민경천 한우자조금 위원장을 비롯해 한우 명예홍보대사 개그맨 윤형빈, 트로트가수 윤서령이 참석해 전 국민과 함께하는 축제의 시작을 알렸다. '소프라이즈 2025 대한민국 한우세일'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우유자조금, 국산 우유의 신선한 가치 확인...‘밀크&치즈 페스티벌’ 성료
국산 우유의 신선함과 품질 경쟁력을 시민이 직접 체험한 ‘2025 밀크&치즈 페스티벌’이 시민들의 높은 만족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와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 안병우)는 10월 25일(토)부터 26일(일)까지 경기 안양시 평촌중앙공원에서 행사를 개최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높은 만족 속에 진행되었다. 페스티벌 첫날은 화창한 가을 날씨로 축제의 분위기가 한껏 고조되었고, 둘째 날 오전 비가 내렸음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은 이어졌다. 뜨거운 참여 열기에 비까지 그치며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올해 행사는 ‘우유는 신선식품입니다’를 핵심 메시지로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마련해 국산 우유가 목장에서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에서 48시간 이내에 유통되는 신선식품임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각종 교육‧요리‧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산 우유는 곧 신선식품이라는 인식 확산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다. 현장에서는 국산 우유와 치즈를 직접 맛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여러 체험 콘텐츠가 운영됐다. 국산 치즈 요리·시식 프로그램을 통해 맛의 즐거움을 전했고, 우유의 품질관리 체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