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밀·콩 생산 신기술 보급 … 식량자급률 달성 뒷받침

- 올해 신기술 보급 시범사업 12개 진행, 전년보다 늘어 
- 집중호우·장마 대비한 재배지 물 빠짐 개선 기술 확산 주력 
- 생산단지 기술 지원 확대, 생산성·품질 향상 도모 

 

정부는 2027년까지 식량자급률 55.5% 달성을 목표로 밀·콩 자급률을 8%, 43.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내 육성 밀·콩 신품종 확산은 물론 기상재해에 대응한 안정생산 기술 지원, 고품질 원료곡 생산단지 육성 등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밀·콩 자급률 달성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올해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현장 기술지원반을 운영해 재배, 병해충, 기상재해 대응 등 기술 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밀·콩 재배 현장 문제 해결에 중점= 2024년 밀·콩 분야 신기술보급사업은 12개 사업 54개소(총사업비 68억여 원)에서 진행한다. 

 

특히 ‘논콩 생산단지 왕겨 충진형 땅속 배수 기술’, ‘국산 밀 생산단지 및 지역특화 가공 활성화’, ‘국산 지중 점적 자동 관개 시스템’, ‘밭작물 정밀파종 및 시비(비료 주기) 기술’ 등 신규 사업 4건을 추진해 영농현장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다. 

 

‘논콩 생산단지 왕겨 충진형 땅속 배수 기술 시범사업’은 콩 파종기·개화기에 집중호우·장마로 인한 재배지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논콩 재배지 땅속에 배수관과 왕겨를 매설하는 사업이다.

 

지난해에 이어 추진하는 △콩 자립형 융복합단지 조성 △색채선별기 활용 국산 밀 품질 체계화 △나물용·순두부용 콩 신품종 확산 △정밀농업 기반 밀·콩 재배 체계 보급 사업은 확대한다. 


또한, ‘논 배수 개선 기술 보급 사업’ 범위를 넓혀 논에 벼 이외 다른 작물 재배를 확대하는 기틀을 다질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추진한 ‘밀 산업 밸리화 시범단지 조성 사업’으로 올해 김제, 구례, 구미, 함양 4곳에서 밀 제분 시설이 순차적으로 완공된다. 시설 1곳에서는 하루 평균 약 7~8톤의 국산 밀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고품질 국산 밀가루의 생산·유통 기반이 구축됨에 따라 국산 밀 소비와 가공품 생산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논콩·밀, 안정생산·품질향상 현장 기술지원반 연중 운영 농촌진흥청의 품종, 재배 기술, 병해충 분야 전문가 20여 명으로 현장 기술지원반을 구성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전략 작물 생산단지(밀 91, 콩 158개소)를 중심으로 각 지역 밀·콩 주산지 농업인에게 신품종, 재배 기술, 배수 관리, 병해충·재해 대응 등 현장 기술을 지도하고 교육한다. 아울러 생육단계·시기별 재배 기술 자료를 제작·보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식량산업기술팀 고종민 팀장은 “쌀 다음으로 수요가 높은 밀·콩의 안정생산과 재배 확대를 위해 신규 시범사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라며 “현장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해 농업인이 체감하는 기술 보급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