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협 '산지유통혁신' 비전 선포!

- '산지유통혁신 2022' 프로젝트로 농산물 유통혁신 가속화
-산지유통 선도모델을 발굴하고 성공사례를 확산하여 산지유통 대변화 촉진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는 2월 18일 서울시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전국의 산지유통 담당자 200여명이 온라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산지유통혁신 2022' 프로젝트 비전 선포식을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서 농협은 올해 산지유통 선도모델 발굴과 확산을 통해 농협 산지유통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룰 것을 다짐했다. 이를 위해 '산지유통혁신 2022' 프로젝트를 실행함으로써 농협이 중점 추진하고 있는 농산물 유통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산지유통혁신 2022' 프로젝트는 20개의 산지유통혁신 선도모델 유형별로 22개 최우수 조직을 발굴하고, 성공사례를 전국으로 확산하여 산지유통 대변화를 촉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산지유통혁신 선도모델이란, 기존 우수사례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산지 전문화, 사업간 연계협력, 먹거리 선순환, 지역특화사업, 영농편익 제고, 스마트 생산유통, 생산・출하 시스템화 등 7개 카테고리(SUCCESS)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20개 유형을 도출한 것이다.

농협경제지주 장철훈 농업경제대표는 “산지유통은 농산물 유통의 출발점이기에 더욱 세밀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산지유통혁신 2022 프로젝트가 유통의 대변화를 이끄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