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귀농어산촌' 예산 퍼붓고도 효과미흡 따져

- 2016년 대비 약 15% 감소, 청년층은 줄고, 고령층만 증가
- 청년 대상 사업에 예산 3천억 사용했지만 효과성 의문

 

정부가 농어산촌의 지속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귀농·귀어·귀산정책이 실효성 없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태흠의원(국민의힘, 충남 보령·서천)이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어·귀산촌 가구원수는 총 7만7938명이었다. 이는 2016년 9만1797명 대비 15% 가량 줄어든 수치이다.

입지별로 보면 귀농이 2016년 2만559명에서 지난해 1만7447명으로 3천명 이상 감소했고, 귀산도 6만9900명에서 지난해 5만9294명으로 1만명 이상 급감했다. 귀어는 1338명에서 1197명으로 10% 가량 감소했다.

정부는 귀농어산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5년간 직접 지원한 예산만 2865억원에 이른다. 부처별로 보면 농식품부 2350억원, 해수부 239억원, 산림청 219억원이다.

 


전체 사업 예산의 절반 이상은 청년층의 유입을 위해 투입되고 있는데 정착 초기 소득을 지원하는 ‘청년 농어촌 정착지원사업’이 1천억원 이상(67%) 차지한다. 연간 최대 1천만원 가량을 현금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농어촌이나 산촌으로 돌아온 사람들 중 39세 이하 청년 인구가 7천명(△21.5%) 이상 줄어든 반면 60대 이상 고령층만 2천여명(9.7%)이나 증가하다보니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김태흠의 의원은 “현재 농어산촌은 청년층 인구 유입의 저조로 지방소멸, 초고령화라는 이중 위기에 처해있다. 청년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소득보장도 필요하지만 농민 정년제 도입, 교육·의료·문화 등 농어산촌의 생활인프라 확충과 같이 보다 큰 틀에서의 중·장기적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진흥청·건국대, ‘치유농업’ 발전 위한 관학 공동연구… 협약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9월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학의 뿌리로 삼아 성장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