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반려동물' 사료시장 온통 수입산

주철현 의원 “반려동물 사료시장 무역적자 5년간 1조원” 프리미엄 사료 등 관련 R&D 개발 및 보급 확대 필요
작년 반려동물 사료 수입액 3,189억원, 수출 794억 원의 4배에 달해
최대 수입국 중국... 가격도 미국산보다 2배 높아

 

국회 농해수위 주철현 국회의원(전남 여수시갑)은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무역적자 완화를 위해, 반려동물 사료 고급화 R&D 개발 확충과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철현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반려동물 사료 생산량은 2020년 136,359톤으로 2016년 22,713톤보다 6배가량 증가했고, 사료 수출액은 2020년 800억 원으로 2016년 160억 원보다 5배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반려동물 사료 수입액도 2,032억 원에서 3,212억 원으로 대폭 증가하며, 5년간 1조 1,172억 원, 연간 2천억 원 이상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고급 프리미엄 사료가 선호되면서 국내 반려동물사료 시장에서 수입 브랜드의 비중은 약 65.3%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반려견 사료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최근 5년 동안 수입액은 약 3,645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중국산 수입품의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시장을 잠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중국산 반려견 사료는 1톤당 6,678달러로 수입국 2위인 미국산 사료(3,684달러)보다 2배가량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반려동물 사료의 고급화 연구가 시급함에도, 반려동물산업 활성화 R&D 개발을 총괄하는 농촌진흥청의 연구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2018년부터 국내 반려동물 산업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반려동물산업 활성화 핵심기반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 총 18건의 연구과제 중 사료 관련 연구개발 과제는 단 4건에 불과하고, 기술은 사업 시작 후 지금까지 1건만 이전된 상태이다.

주철현 의원은 “반려동물 연관산업 규모는 지난해 3조 3,753억 원으로, 2015년보다 2배가량 증가했고, 2027년에는 무려 6조 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라며 “농촌진흥청은 막대한 무역적자를 벗어날 수 있도록 반려동물 사료 고급화에 대한 연구과제를 더 확충하고, 실효성 있는 기술 개발로 국내 반려동물 사료 기업에 보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