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민안전' 뒷전(?)... 허수아비 '보험'으로 전락

- 산업 평균보다 산재 잦은 농업분야 사고 시 농민 지켜줄 보험가입은 저조
- 사망만인율, 전 산업평균 1.09% 보다 높은 농업분야 1.27%
- 농업인안전보험 가입률 65%로 고용보험 90%·산재보험 97% 보다 높아
- 농기계로 인한 안전사고 45%는 경운기서 발생하지만 농기계종합보험에 가입된 경운기는 전체 경운기의 1.3%에 불과
- 맹성규 의원, “농민안전관련 보험가입률 높이도록 정책적 노력 필요”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국회의원(인천남동구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농업분야는 안전사고 등 산재가 잦은 분야임에도 보험가입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농업분야의 사망만인율이 타 산업분야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만인율은 노동자 1만명당 산업 재해로 사망한 노동자수 비율로 해당 산업에서 산재가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지난해 농업분야 사망만인율은 1.27%로 전 산업 평균 사망만인율 1.09%를 웃돌았다. 2018년엔 전 산업 평균 사망만인율이 1.12%일 때 농업분야는 1.68%까지 치솟았다.

여러 산재 위험에 노출된 농업인들의 농업인안전보험 가입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맹 의원이 농림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인 안전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87만명으로 가입대상인원(134만명)의 65%에 불과했다. 전체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90.3%, 산재보험 가입률이 97.8%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업인안전보험 가입률(65%)은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농업인안전보험뿐 아니라 농기계종합보험 역시 농민안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기계로 인한 농민안전사고는 주로 경운기(45%)에서 발생하지만, 지난해 농기계종합보험에 가입된 경운기는 전체 가입대상 경운기 54만 4천대 중 6,950대(1.3%)에 그쳤다.

국감에서 맹성규 의원은 “그동안 산업재해를 건설·기계·항만 등의 분야로 국한해 온 측면이 있다. 농업인들은 농기계와 떨어져 작업할 수 없는 만큼 농업인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농업인안전보험과 농기계종합보험 가입을 제고할 수 있도록 농림부 차원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일상 속 ‘쉼표’가 필요할 때... 치유농장으로 오세요!
농촌진흥청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자연 속에서 휴식과 회복을 누릴 수 있는 농장, 마을, 기관 등 치유농업시설을 안내했다. 치유농업시설에서는 식물·곤충·동물·농촌 경관 등 지역의 특색있는 농촌자원을 활용해 스트레스 및 우울감 경감, 대인관계 회복 등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강원 춘천시에 있는 ‘고은원예치료센터’ 농장은 허브, 채소, 식용 꽃 등 사계절 다양한 식물을 심고 가꾸면서 방문객의 신체적·정서적 회복을 돕는 맞춤형 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직접 수확한 작물로 간단한 먹을거리를 만들거나 비누·향주머니 같은 생활 소품을 만들며 몸과 마음을 치유하도록 이끈다. 경남 김해시에 있는 ‘한림알로에’ 농장은 1만 5,000㎡ 규모로 알로에를 재배하고 있다. 알로에 모종 심기와 수확, 알로에를 이용한 생활용품과 먹을거리 만들기를 즐길 수 있다. ‘알로에 슬라임’을 활용한 촉감 놀이는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다. 치유농장시설 세부 정보는 농촌진흥청 치유농업포털 ‘치유농업ON’과 각 농장 누리집에서 볼 수 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국민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시설 육성 등을 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