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국제종자박람회’ 10월 6일부터 개최

- 가상현실 전시포, 온라인 전시관 및 수출상담회 등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오는 10월 6일부터 11월 2일까지 ‘2021 국제종자박람회’를 코로나19 방역차원에서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국제종자박람회는 ‘씨앗, 미래의 희망’을 주제로 해외 바이어, 농업인, 일반 관람객들에게 국내 우수 종자를 홍보하고 종자기업의 수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 전시프로그램 ▲ 현장 전시포 ▲ 해외바이어 프로그램 ▲ 연계 및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온라인 박람회장에서는 종자산업의 현황·정책, 종자의 중요성 및 대한민국 우수품종상 수상품종을 소개하며, 원예 및 씨앗을 활용한 체험 영상 콘텐츠도 관람할 수 있다.
 


한편, 종자관련 유관 기관인 농진청 및 전국 7개 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장미, 국화, 옥수수, 딸기, 수박 등 주요 신품종이  전시되며, 종자원의 품종 보급 및 보호제도 등도 소개된다.
 
종자기업(32개사), 전후방기업(32개사)이 보유한 신품종, 신제품, 신기술이 참가기업타운에서 전시·소개되며, 온라인 쇼핑몰,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통한 마케팅도 지원한다.

파노라마 가상현실(VR) 전시포는 민간육종연구단지(김제시)내 현장 전시포를 가상현실 공간으로 구현함으로써 직접 현장 전시포를 방문하지 못하는 관람객들에게 전시작물의 성장과정과 현장을 담은 영상, 작물별 품종 정보를 생생하게 제공한다.
사전 신청을 통해 현장 전시포를 참가기업, 국내외 바이어 및 일반인들에게 3일간(10.14~16) 개방할 예정이다.  

박람회 기간동안 ‘해외바이어 프로그램’을 통해 종자기업과 해외바이어와의 비대면 만남의 장이 마련된다.
화상시스템을 활용한 ’맞춤형 기업간거래(B2B) 수출상담회‘를 진행하고 해외로 종자샘플 발송시 물류비 일부와 사후관리 등도 지원한다.
KOTRA의 해외수출지원플랫폼인 ‘buy KOREA’ 내 국내전시통합관에 국제종자박람회 채널도 개설하여 비대면 마케팅을 추가 지원한다.

 


가상박람회장 내 미디어타운을 통해 진행되는 ‘연계 및 체험프로그램’은 종자연구회 심포지움, 해외연사 초청 웹세미나 등 다양한 학술행사를 제공하고,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이벤트, 가상 박람회장 출석체크 이벤트, 체험영상 시청 인증샷 및 후기 이벤트 등 다양한 온라인 이벤트를 통해 경품도 제공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김종구 농업생명정책관은 “올해도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방식으로 박람회를 개최하지만, 작년보다 더 풍성한 전시자료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우수품종 소개와 국내외 종자인들간의 교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하면서, “박람회가 성공적인 국제행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하였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