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우 ‘굿모닝 백다다기’ 재배 하우스 현장

-천안에서 최고시세 받는 오이는 무슨 품종일까?
-1위, 2위를 다투는 흑성작목반 이은덕 농가의 오이

 

이은덕 농가는 30년 차 베테랑 오이 농가이다. 이은덕 농가의 오이가 맛있다고 천안에서 소문이 자자하다. 이미 누구나 아는 농사 잘 짓기로 유명한 오이 농가 이은덕 농가의 하우스를 직접 방문해 인터뷰해보았다.

 


흑성작목반에서 1위, 2위를 다투는 이은덕 농가의 오이는 이날(21.05.26일) 시세 74,000원/100개를 받으며 2위를 차지했다.

이은덕 농가는 총 13동 하우스(총 2500평)에 8동은 농우바이오 오이 품종, 5동은 타사 오이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 농우 ‘굿모닝 백다다기’ 재배 하우스

두 품종의 차이가 눈대중으로 보아도 확연하게 달랐다. 타사 품종이 재배되고 있는 하우스는 노균병이 심하게 왔다. 노균병이 걸린 오이는 수확량과 맛에서도 많은 차이가 난다.

 


◇노균병이 퍼진 타사 품종의 오이 시설재배 하우스

농사의 시작은 품종선택, 노균병 안 걸리는 오이?
농사의 시작은 고품질 종자를 선택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 씨가 재배하는 오이 품종은 농우바이오 ‘굿모닝 백다다기’ 오이였다. 그는 2년 전 ‘굿모닝 백다다기’ 오이를 처음 접하고 올해도 재배하기로 결심했다.

 


‘굿모닝 백다다기’의 가장 큰 장점은 작년에도 올해도 기후가 안 좋았지만 병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굿모닝 백다다기’는 흰가루병과 노균병이 없어 수확량이 꾸준한 품종입니다.

타사 품종은 흰가루 약을 5번 쳤는데, ‘굿모닝 백다다기’의 경우에는 2번만 쳤는데도 병이 잡혔어요. 그리고 노균병은 흔적도 찾아볼 수가 없고 병해를 잘 버텨서 늦은 시기까지 좋습니다.”라며 그는 ‘굿모닝 백다다기’의 내병성과 수확량 측면에서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타사 품종 40짝 땄으면 하품이 4~5짝, 굿모닝은 며칠에 1짝 나올까 말까 합니다.” 곡과도 없고 파치도 거의 없다고 했다. 게다가 타사 품종과 ‘굿모닝 백다다기’의 시세 차이가 3~5천 원 정도(100개 기준)로 크게 난다고 했다. “씹을 때 오이가 쫀득쫀득하고 달면서 질이 좋은 게 확 느껴져요. 맛도 시세도 ‘굿모닝 백다다기’가 훨씬 좋습니다.”

◇ ‘굿모닝 백다다기’ 어떻게 재배해야 하나요?

이 씨는 모든 오이를 잘 재배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욕심 부리지 않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했다. “초기에 욕심을 버리고 10마디부터 과를 달기 시작하면 품질이 좋은 오이를 생산할 수 있어요.” 그리고 “‘굿모닝 백다다기’도 마찬가지로 10마디부터 착과시켜 그 후에 비료를 잘 주면 초세도 잡고 좋은 오이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굿모닝 백다다기’의 특성상 잎이 솟아 오이를 수확할 때 오이가 잘 보여 허리를 힘들게 굽힐 일이 없었고 오이 내림 작업과 집게 작업하기 좋았다.”라고 전했다.

농우바이오 오이 마케터 김태훈 대리는 “‘굿모닝 백다다기’는 농우바이오에서 농가들의 요구도에 맞춰 육성한 품종이며, 실제적으로도 ‘굿모닝 백다다기’를 재배하는 농가들은 시세를 많이 받는다.”라며 농가 소득을 높여주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