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그린바이오 벤처기업과 협약

- 그린바이오 벤처기업에 28억 원 창업사업화 자금 지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 이하 실용화재단)은 그린바이오 벤처기업 10곳을 선발해 창업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그린바이오 벤처육성지원사업은 그린바이오 5대 전략분야에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사업고도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그린바이오 신산업 분야를 이끌어갈 유망기업을 육성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번에 협약을 체결한 기업은 ‘2021년 그린바이오 벤처육성 지원사업’을 통해 7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벤처다.
협약체결 벤처기업에는 280백만 원의 창업사업화자금과 기술가치평가서 제공 및 유통․판로 연계지원이 제공된다.

특히, 투자유치 기회 제공을 위해 실용화재단-㈜씨엔티테크-EO(태용)이 공동 운영하는 농산업 투자포럼 '투-DAY', 실용화재단-롯데액셀러이터-위쿡이 공동 운영하는 ‘미래식:단, The Food Changers’에 참여할 기회도 제공된다.

 


실용화재단과 협약을 체결한 벤처기업은 ㈜엠케이바이오텍 등 10개 기업으로, 산업분야별로 대체․메디푸드 분야 5개 기업, 생명소재 분야 3개 기업, 동물용의약품 분야 1개 기업, 종자분야 1개 기업이다.


대체 메디푸드 분야는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한 대체육의 개발, 동물조직세포 내 줄기세포 배양을 통한 대체육의 개발 등 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이며, 생명소재 분야는 식물유래 기능성 화장품 개발, 곤충유래 고분자 다당류 및 효소합성을 통한 생물고분자(바이오폴리머) 생산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이다.

또한, 동물의약품 분야는 태반유래 줄기세포를 활용한 반려동물 염증치료제 개발과 종자분야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토마토 품종개발 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이다.
이번 협약체결기업은 이미 총 100억 원 이상의 초기투자에 성공한 벤처․창업기업으로, 이번 정부의 지원으로 한층 사업 고도화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정부는 ‘그린바이오 융합형 新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했고, 후속조치로 농식품부와 실용화재단은 총사업비 28억 원을 투자해 ‘그린바이오 벤처육성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린바이오는 기존 농업기술에 생명공학기술(BT)이 융합된 첨단기술이자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도 2021년 10대 바이오미래유망기술로 그린바이오 분야에서 ‘세포배양 축산기술’과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을 선정해 발표하기도 했다.
더불어 정부도 그린바이오 5대 유망 산업분야를 선정해 2030년까지 지금의 2배 이상인 12.3조 원의 시장규모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린바이오 산업분야는 이제 그 첫발을 내딛기 시작했다.

실용화재단 박철웅 이사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과 더불어 바이오 기술이 가져올 농업의 미래는 도전과 기회의 장이 될 것이다”라며 “그린바이오 창업생태계를 더욱 환산시켜 농업의 미래 신(新)산업으로 육성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