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우바이오 연초부터 '덜컹덜컹'

- 국내 최대 종자기업 농우바이오 내부 인사내홍으로 총파업 결의

- 유재섭 농우바이오 지부장 “농협중앙회의 인사횡포는 결국 나비효과를 일으켜 우리나라 농산업에 큰 피해를 끼치는 것”

 

 

 

NH농협중앙회노동조합 농우바이오지부는 1월 11일,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진행한 임금 및 단체협상의 노사 조정 과정이 최종 결렬되면서 총파업 진행을 위한 모든 행정적 절차를 끝냈다고 밝혔다. 이로써 농우바이오지부는 임금협상의 결렬과 더불어 농협중앙회장의 계열사 인사횡포에 맞서 총파업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농우바이오는 대한민국 농산물 종자산업에서 시장점유율 24%를 차지하고 있는 선두 기업으로 2014년 농협에 인수∙합병되어 지금은 농협경제지주 계열사로 편입되어 있다. 농협 내 속한 24개 계열사 모든 경영진의 인사권을 쥐고 있는 농협중앙회는 21년도 임원추천위원회 명단을 발표하면서 노조와 심각한 갈등을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농우바이오의 경우 산업의 특성상 농산물 수급과 관련해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그동안 철저히 전문가 중심의 경영진을 내정해 왔다.

 

농우바이오가 총파업을 단행한다면 단순히 회사의 경영적 손실을 넘어 우리나라 농산물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되어 농업 현장에서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회사는 단순 매출 손실이 파업 2개월이면 170억이 훌쩍 넘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밖에도 농업인의 경제적 손실은 추산하기 어려울 정도의 천문학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종자 생산은 3~5년 이후를 내다보고 미리 준비하는 만큼 이번 파업이 적게는 5년, 많게는 10년까지도 종자 수급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외에도 신품종 육성에 필수적인 R&D 연구 일정에도 피해가 미치는 만큼 신품종 출시 지연에 따른 농업인들의 민원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NH농협중앙회노동조합 농우바이오지부는 사안에 대해 총파업을 강행해서라도 반드시 저지한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전 8일, 조합원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여 98%의 압도적인 파업 찬성 지지율을 획득하였다(총 조합원 404명/투표율 92%, 찬성 98%, 반대2%).

 

유재섭 농우바이오 지부장은 “중앙회의 인사횡포는 결국 나비효과를 일으켜 우리나라 농산업에 큰 피해를 끼치는 것” 이라며 “조직을 지키고 농업을 수호한다는 사명으로 피를 깎는 총파업을 강행해서라도 반드시 저지할 것이며 이번 파업으로 들불처럼 커질 모든 피해는 농협중앙회장을 비롯한 경제지주 대표에게 있다”고 말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