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케냐정부’ 농우에 농업협력 손짓!

농우바이오, 케냐 바링고주 도지사와 농자재관련 환담나눠

케냐정부농우에 농업협력 손짓!

농우바이오케냐 바링고주 도지사와 농자재관련 환담나눠 

농우바이오(대표 최유현) 2 1일 본사에서 케냐 바링고주 스탠리 도지사 일행과 만나 환담했다스탠리 도지사는 함께 방문한 바링고주 마린 과학부장관리차드 농림부 장관폴 도의원 일행을 소개하고 케냐 바링고 지역에 대한 설명과 채소 종자와 관련한 농업분야 협력을 부탁했다.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작은 지역 종자회사를 통해 고추양배추 종자 5천불을 수출하며 아프리카 종자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농우바이오는 이후 10여년이 지난 지금 아프리카 대륙의 중심인 케냐를 거점으로 토마토적양파오이 등의 채소종자를 4만불을 수출하며 점차 시장을 늘려 나가고 있다. 

최유현 대표는 아프리카 대륙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시장 중에 한 곳으로 기존 토마토적양파 품목에서 더 확대해 양배추하늘초 고추피망브로콜리파 등 다양한 채소 품종개발을 통해 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채소종자 수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바링고주 스탠리 도지사 역시 세계적인 육종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농우바아오가 함께 협력해 준다면 빠른 시간 내 바링고주 뿐만 아니라 케냐 농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만족감을 표시했다.

 

이번 케냐 바링고주 스탠리 도지사 방문은 월드베스트프렌드 NGO단체가 진행하는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나향후 농우바이오는 케냐 바링고지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대륙에 다양한 채소종자 수출을 늘려나가기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