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미허가축사 기한연장”…극한 ‘단식농성’ 10일차

축산단체 대표들 무기한 ‘단식농성’으로 정부 압박!… ‘특별법 제정’ 촉구

미허가축사 기한연장극한 단식농성’ 10일차

축산단체 대표들 무기한 단식농성으로 정부 압박!특별법 제정촉구

면담거절 환경노동위원회입장 전환 없는 현 정부 강력히 규탄

 

미허가 축사 적법화 3년 기한 연장 법률 개정과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무기한 농성  21일 현재 10일차를 맞고 있다축산 단체는 10일 연속으로 24시간 동안 서울 국회앞 농성장과 세종시 농식품부앞 농성장에서 연일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투쟁을 하고 있으며 끝까지 죽을힘을 다하여 투쟁에 임한다는 것

 

축산단체들은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 홍문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이 농성장을 방문하는 자리에서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입장을 전환하여 미허가 축사 적법화 기간 연장 법률 개정에 동의를 해야 축산 농가가 산다라고 하였다고 했다는 것.

축산단체는 홍영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을 면담하기 위하여 수차례 접촉을 하였으나 돌아오는 답변은 만날 이유가 없다는 단호한 거절이었다며 환경노동위원회를 비난하고 있다.

 

축산단체는 축산 농가의 생존권 유지를 위하여 2 2(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미허가 축사 적법화 기한 3년 연장 법률 개정 촉구 기자회견에 이어 헌법재판소 앞에서 축산 농가 생존권 박탈하는 가축분뇨법 위헌소송 청구 기자회견도 함께 가졌다.

한편, 단식농성장에는 격려를 아끼지 않는 관계자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국회앞 농성장에는 축협조합장협의회 정문영 회장을 비롯하여 한국낙농육우협회 손정렬 고문청년분과 이영병 부위원장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문홍길 소장강보석 농업연구관이 방문하여 기간연장 법률 개정의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한국육계협회 김상근 농가협의회 회장과 회원 및 하림 정문성 부사장 등 관계자가 방문하여 정부의 입장 전환을 요구하였다세종 농성장에는 대전축협 신창수 조합장과 관계자세종공주축협 이은승 조합장과 관계자가 농성장을 방문하여 미허가 축사 적법화 기한 3 연장의 필요성과 정부의 입장 전환을 강력히 요구하였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