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우리 농업기술의 패키지화로 900억 수출 성과

품종-농자재-농기계-재배시스템을 연계한 수출 패키지화

품종-농자재-농기계-재배시스템을 연계한 수출 패키지화 

아미노산 액상비료 및 측조시비기 240억 수출계약 달성 등

<!--[if !supportEmptyParas]--> <!--[endif]-->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은 침체된 국내 농산업분야 수출확대를 위해 새롭게 추진한 우수 농업기술·품종·제품의 패키지 수출사업을 통해 금년도 약 900억원의 수출성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패키지 수출사업은 국가마다 기후, 토양 등 작물재배 환경이 국내와 상이함에 따라 발생하는 어려움을 품종-농자재-농기계-재배시스템을 연계해 패키지화 하여, 진입국의 현지 적응성 시험인 해외 테스트베드운영을 통한 실증테스트를 거쳐 수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수출 전략으로, 현재 단순 농식품과 농산물 위주의 농업수출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3개 국가에서 국내 14 친환경비료농약 등의 농기자재 21개 제품을 약 46ha의 농지에 투입해 검증하여, 현지에서 성능을 인정받은 제품에 대해 총 340억의 수출 및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재단은 해외 테스트베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내년에는 2개국 5개소에 해외 테스트베드를 설치하여 약 6075개 제품을 투입, 1,000억원 수출을 목표로 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한, 재단은 거점국가별 전문 전시회 및 매칭 상담회 참가, 해외 온/오프라인 판로개척 지원, 국내 우수 품종의 해외진출 지원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농산업분야 수출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에는 인도, 중국,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등 5개 국가에 53개 농산업체의 농기자재 제품의 박람회 참가를 지원하여, 바이어 매칭상담회 등을 통해 해외 신규시장을 개척하였고, 이 사업을 통해 약 504억원의 수출성과를 달성하였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