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국제농업박람회 23일부터 29일까지...박람회 준비 차곡차곡

- 2025국제농업박람회, AI가 이끄는 농업 혁신! K-농업의 모든 것 체험 기회
- 박관수 사무국장 “첨단 농업 솔루션의 선도적 수출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 될 것”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를 제시할 세계적 축제, ‘2025국제농업박람회’가 오는 10월 23일부터 29일까지 7일간 전라남도 나주에서 개최된다.
 
‘농업이 세상을 바꾼다’는 대주제 아래, ‘AI와 함께하는 농업혁신, 생명 키우는 K-농업’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25개국 380여 개 기관이 참여한다. ‘기후 위기’, ‘식량 안보’등 인류적 과제 속에서 농업이 제시할 수 있는 가장 혁신적 해법과 미래 청사진을 선보이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편집자>
 
◇ 미래를 체험하는 다섯 개의 문, ‘주제별 다섯 마당(田)’
 
박람회는 관람객이 농업의 무한한 가치를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5개의 주제로 구성된 ‘마당(田)’을 선보인다. 실물과 체험 중심으로 설계된 각 마당은 농업의 현재와 미래를 오감으로 느끼고 배우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상생마당전= 미래 세대와 소통하며 농촌 문화의 가치를 나누는 공간. ‘어린이·직업 체험관’에서는 스마트팜 코딩과 드론 체험, ‘청년창업농마켓’에서는 청년 농부들의 창업 지원, ‘전남 농산물 패션쇼’와 ‘월드 새참 콘테스트’ 등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농업미래전= 박람회의 심장부로 AI 기술이 이끄는 미래 농업을 체험. AI 스마트팜, 기후변화 대응 품종, 우주 시대 먹거리 기술 전시와 세계 선두 기업 자율주행 트랙터 체험, 로봇견 ‘스팟’ 시연 등 첨단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농업산업전= 최신 농기계와 스마트팜 기술, 농자재 전시 및 판매 부스를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산업 기술 교류와 정보를 제공한다.
 
▶비즈니스전= K-농업의 글로벌 교류와 수출 확대의 장. 16개국 50여 개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와 월드푸드테크 포럼, 국제 커피 심포지엄 등 국제 학술대회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가 기대된다.
 
▶힐링치유전= 풍요의 정원, 아열대 식물원, 고구마·감 수확 체험, K-커피 홍보관, 반려문화놀이터 등 자연 속 휴식과 오감 체험을 할 수 있다.

 

◇ AI로 증명한 혁신, K-농업의 새로운 도약
 
이번 박람회는 슬로건 ‘AI와 함께하는 농업혁신’을 홍보 방식에도 적용했다. 공식 주제곡의 작곡, 노래, 뮤직비디오 제작 전 과정을 AI로 수행, 예산 절감과 시간·공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홍보 사례를 선보였다.
 
세종대왕의 “농업은 천하의 근본”, 이순신 장군의 “호남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라는 정신이 AI 기술과 만나 K-농업의 미래로 꽃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한편, 박관수 사무국장은 “이번 박람회는 단순히 기술 전시를 넘어, 기후 위기 속에서 농업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인류 미래를 논의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2025국제농업박람회는 대한민국이 첨단 농업 솔루션의 선도적 수출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농업이 세상을 바꾸는 위대한 여정, 2025년 10월 전남 나주에서 시작된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