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팜(FARM)을 활용한댜양한 농촌관광상품 개발

인제하추마을, 남원달오름마을에서 팜파티 시범운영

인제하추마을, 남원달오름마을에서 팜파티 시범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는 농촌관광 상품 다양화를 위해 (Farm)’을 시장화 시킬 수 있는 특수목적형 팜파티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시범운영하고, ‘17년 농촌관광 MICE상품으로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그간의 농촌관광이 불특정 대상을 타겟으로 하는 먹거리, 영농 등의 체험위주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 왔다면, 이제는 고교생’, ‘대학생’, ‘기업·직장인’, ‘실버세대등 각 그룹의 선호에 맞는 특수목적형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기존 농촌관광 프로그램과 차별화를 두고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내년도 본격 상품개발에 앞서, 전북 남원 달오름마을과 강원 인제 하추마을에서 각각 대학생과 기업·직장인을 대상으로 팜파티 관광상품 시범운영을 실시한다. 강원 인제 하추마을에서는 삼시세끼, 우리는 한솥밥 식구라는 컨셉으로 직장인 대상 팜 워크숍 열렸다. 직장 동료들과 팀을 구성하여 나무하기, 식재료 보물찾기, 도리깨체험 등 솥밥을 짓기 위한 여러 가지 미션을 수행하며, 한솥밥 식구라는 진한 동료애를 다지게 된다.


한편, 지난 5일부터 12일간 달빛을 끌어들인다라는 의미를 가진 전북 남원 인월면 소재 달오름마을에서는 40여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해 파티의 드레스코드인몸빼바지를 입고 주민과 함께 하는 달빛아래 디스코추기, 성춘향과 이도령의 판소리 한마당, 취업기원 등의 소원을 담은 풍등날리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팜파티를 즐겼다. 이번 팜파티를 통해서 대학생을 타겟으로 이색적인 콘텐츠를 도입하여 농촌마을에서도 젊은 층이 즐길 수 있는 색다른 공간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제 농촌관광도 맞춤형 시대라며, 팜핑, 팜웨딩, 팜스쿨, 팜크닉, 팜세미나 등 특수목적을 가진 대상에 맞는 맞춤 상품을 개발하여 홍보해 나간다면, 팜파티 상품이 농촌관광의 MICE 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