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이종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장에게 듣는다!

인삼특작부, 병 재배용 느타리버섯과 팽이버섯등 종류별로 알맞은 재배조건 내놔

현장인터뷰이종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장에게 듣는다!

 

버섯농가 안정화된 재배 기대

인삼특작부, 병 재배용 버섯, 종류별 알맞은 재배 조건 내놔

큰느타리, 느타리, 팽이버섯의 배지 수분 함량과 입병량 제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연중 안정적인 버섯 재배를 위해 병에 재배하는 데 알맞은 배지의 수분 함량과 입병량을 제시했다. 버섯을 병에 재배할 때 배지의 재료로는 톱밥, 콘코브(이수수이삭속), 면실피, 미강(쌀겨), 소맥피(밀기울), 비트펄프(사탕무박), 면실박 등을 사용한다. 각각 수분 흡수율과 수분에 의한 팽창과 수축 정도가 다르다.

버섯균이 잘 자라도록 병 안에 알맞은 틈을 유지해야 하는데 버섯의 종류별로 사용하는 배지 재료와 혼합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공극 유지를 위해 수분 함량 조절이 필요하다.병에 재배하는 버섯 중 팽이버섯, 큰느타리(새송이), 느타리는 총 버섯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농촌진흥청은 2013년부터 농가의 배지 조성 실태 조사를 통해 이들 버섯에 알맞은 병당 배지의 입병량과 수분 함량을 연구했다.병당 배지의 입병량이 적은 느타리는 배지 재료로 수분에 팽창이 잘 되고 질소 함량이 높은 비트 펄프와 면실박을 사용한다.

팽이버섯은 쌀겨, 큰느타리는 밀기울을 영양원으로 사용한다. 이 기준으로 팽이버섯을 재배할 경우, 11만 병을 입병하면 배지 재료비가 병당 10원 정도 적게 들고 버섯 수량은 11.6% 늘어 연간 약 15,800만 원의 소득이 늘 것으로 추정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종기 인삼특작부장을 직접 만나 얘기를 들어봤다.<편집자>

 

-버섯 재배 방법으로 병 재배에만 적용하는 건가요?

버섯 재배 방법에는 균상재배, 원목재배, 병 재배, 봉지재배 등이 있습니다. 양송이 균상재배는 볏짚을 이용하고, 표고, 영지 등 원목재배는 나무토막처럼 단일 재료를 이용합니다. 이에 비해 병 재배나 봉지재배는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므로, 그 조성에 따라 버섯의 수량과 품질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 봉지재배에 사용하는 비닐은 버섯 균이 자랄 때 배지와 함께 수축되지만, 병 재배에 사용하는 플라스틱병은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배지의 입병량과 수분 함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큰느타리, 느타리, 팽이버섯만 설명하는 이유는?

버섯은 종류마다 버섯균이 잘 자라는 배지 재료의 종류와 혼합 비율, 재배 시설, 환경 조건 등 생육 조건에 차이가 있습니다. 버섯 병 재배는 재배 시설이나 환경 조건 조절 방법이 비교적 표준화돼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큰느타리, 느타리, 팽이버섯은 전체 버섯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병 재배로 생산되는 버섯 중에서는 9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버섯이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배지 수분 함량과 병당 입병량을 어떻게 계산해 사용했는지요? “버섯 종류별로 영양원 첨가 재료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재료들은 수분 흡수량과 팽창 정도가 달라 기계로 입병 작업을 할 때 병에 들어가는 배지의 양에 차이가 많습니다. 지금까지 농가에서는 수년 동안 계속되는 경험에 의존해 버섯 수량이 많은 조건을 찾아왔기 때문에 농장마다 배지의 입병량과 수분 함량에 차이가 많고, 버섯 수량과 품질에도 차이가 많습니다.”

-이 기술이 확대 보급됐을 때 예상되는 성과는?

버섯 종류별로 배지의 수분 함량, 입병량 조절을 통해 병내 공극과 양분 함량을 알맞게 유지함으로써, 그동안 버섯 생산량에 기복이 있었던 농가에서도 연중 안정적인 버섯 재배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결과 하루에 1만 병씩 연간 300회 팽이버섯을 재배하는 경우, 배지 재료비가 병당 10원 정도 적게 들고 버섯 수량은 330.5g으로(기존 296.1g) 11.6% 늘어 연간 약 15,800만 원의 소득 증가가 기대됩니다.”

 

-이 기술 보급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죠?

우선, 버섯생산자연합회의 품목협회별 모임과 시군 농업기술센터 지도사들의 모임인 버섯지도연구회 모임을 통해 알리고, 2016년부터는 버섯 관련 신기술시범사업의 시범 요인으로 보급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연구 계획은?

버섯 종류와 재배 방법을 확대해 노루궁뎅이버섯, 잎새버섯, 목이버섯, 표고버섯 등 봉지재배에 알맞은 조건을 밝혀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충북=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