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중국콜드체인협회 MOU 체결

양국 콜드체인산업 발전을 위한 정보교류와 협력사업 공동추진


국내 콜드체인산업 대표 단체인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와 중국 콜드체인산업 대표 단체인 중국콜드체인협회가 양국 콜드체인(Cold Chain)산업 발전은 물론 인류의 삶의 질에 직결되는 먹거리의 안전 공급을 위해 협력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KFCA; Korea Food Cold Chain Association, 회장 정명수, 이하 KFCA)와 중국 최대 물류협회인 중국콜드체인협회(中国冷链物流联盟; China Cold Chain Alliance, 원장 송문헌, 이하 중냉연맹)는 최근 마포 서울가든호텔에서 상호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이날 양 단체는 MOU를 통해 양국 콜드체인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보교류는 물론 콜드체인산업과 관련한 공동 국제세미나 개최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와 함께 상대 콜드체인관련 단체의 상대국 방문활동 시 방문활동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지원과 상대 단체 회원기업들의 상대국 시장 진출시 사업의 성공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KFCA 정명수 회장은 “이번 KFCA와 중냉연맹간의 MOU는 한•중 양국의 식품콜드체인산업 대표 단체간의 협약으로, 앞으로 양국 관련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협력사업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면서 “특히 이번 MOU는 국내 콜드체인 관련 물류서비스 업체는 물론, 창고 내 온도관리나 운송차량 내 온도관리 기술과 첨단 냉장기술이 접목된 설비•장비업체들의 중국시장 진출 기회 확대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KFCA측에서는 협회 명예회장인 김동태 前농림부 장관, 고문인 서병륜 LogisALL그룹 회장, 회장인 정명수 물류산업연구원 원장, 부회장인 ㈜사조시스템즈 김몽옥 대표와 ㈜물류신문사 장대용 대표, 가천대학교 한관순 교수를 비롯, 동원산업㈜ 김종성 부사장, NH무역 권만회 전무, 한국식품연구원 김병삼 본부장, KLP 조윤성 대표컨설턴트, 협회 사무국장 ㈜물류신문사 김성우 본부장 등이 참석하였다. 

중냉연맹에서는 연맹 송문헌(宋文昕) 원장(중냉연맹 부주석), 하북신발지농수산물유한회사 팽소휘(彭少辉) 부총경리(중냉연맹 부주석), 중냉연맹 류징(刘京) 상무부원장을 비롯, 섬서성백수현강달과일야채유한회사 왕강웅(王康雄) 대표이사, 복건성명성그룹 임향건(林香建) 대표이사, 청두은리냉장물류주식유한회사 사빈(谢彬) 회장과 풍창운(冯昌云) CEO, 원남성달냉동식품물류유한회사 류양문(刘良文) 회장 등이 참석하였다. 


중냉연맹은 중국 내 식품 및 콜드체인 관련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최대규모의 민간기업 연합체다.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KFCA; Korea Food Cold Chain Association)는 2014년 5월 20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설립허가를 받아 출범했다. 기존의 (사)농식품저온물류연구회를 계승해 출범한 협회는 적정온도 유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하고 신속 정확한 물류를 통해 식품의 품질유지, 나아가 인류의 식생활 안전과 보건, 친환경 재원보존을 위해 설립됐다. 


협회는 △국내 우수 식품콜드체인 업체 인증제도 운영 △콜드체인 시스템의 단체표준 연구, 제정 △콜드체인 산업 관련 對정부 정책•제도 개선 건의 △국내외 식품 콜드체인산업 현황 연구 △식품 콜드체인 발전을 위한 선진기술 개발 △콜드체인산업 관련 산학연 공동사업 △콜드체인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해외연수, 교육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