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인사 발령

▲ 경영지원처장 기노선 ▲ 유통조성처장 송기복 ▲ 식량관리처장 유병렬 ▲ 감사실장 이관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인사발령

1급 승진 (4)

경영지원처장 기노선 유통조성처장 송기복 식량관리처장 유병렬 감사실장 이관

2급 승진 (13)

기획예산부장 김창국 융자관리부장 문병필 시장지원부장 윤도언 품질안전부장 상병하 식량지원부장 김기붕 곡물관리T/F팀장 김상백 중국수출부장 전기찬 식품수출부장 정연수 수산수출부장 구자성 해외마케팅부장 노태학 사이버거래소 마케팅부장 박장희 서울경기지역본부 관리비축부장 김문규 분화부장 노윤희

처실장급 전보

기획실장 김형목 재무관리처장 이호선 수급관리처장 김달룡 국영무역처장 오정규 수출전략처장 오형완 식품산업처장 조해영 농수산식품기업지원센터장 신장현 aT센터장 조익춘 화훼공판장장 권오엽 사이버거래소장 김장래 서울경기지역본부장 최병옥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장 최근원 광주전남지역본부장 성창현 대구경북지역본부장 이성진 부산울산지역본부장 이유성

부장급 전보

CS경영부장 최주환 경영평가부장 고동호 인사부장 김정욱 시설관리부장 권홍 회계관리부장 김민수 법무지역T/F팀장 직무대리 전대영 산지지원부장 김호동 수급사업부장 서병교 유통정보부장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