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식품원료’ 수입산 비중 갈수록 증가 ‘위험’

국가식품클러스터, 외국기업 48개사 식품기업 비중도 너무 높아


김승남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전남 보성·고흥)은 “국가식품클러스터 사업은 한・미 FTA 협상타결(’07.6)에 따른 국내 농림수산업의 보완대책으로, ’09년부터 시작되었으나 3년 이상 사업이 지연되고 있고, 국가산업단지도 외국식품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전북 익산에 조성 중인 국가식품클러스터 사업은 ’08년 12월에 입지를 확정한 후, ’13년부터 기업입주 개시를 계획하였다. 그러나 사업부지 공모 지연, 사업시행자 선정지연, 산업단지 종합계획 승인 지연 등으로 3년 이상의 시간을 낭비하였고, 당초 ’12년까지 160개 기업 및 연구소를 유치할 계획이었으나 ’14.9월 현재 100개(국내 52, 해외 48) 식품기업・연구소 등과 투자 MOU를 체결한 상태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매출 5천억원 이상 해외 선도기업이 10개, 500억원 이상해외 중견기업이 11개, 해외 기업 연구소 6개, 21개의 해외 소기업이 투자의향을 보였다. 국내기업으로는 CJ제일제당을 포함하여 선도・중견기업이 12개, 소기업은 36개, 연구소 4곳은 대학부설 또는 협회 부설연구소 밖에 없다.
국가별로는 일본 12개, 중국 10개, 싱가폴 8개로 외국기업 중 경쟁국가가 71% 차지한다. FTA로 인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완대책이 자칫 외국기업의 수출단지를 만드는 꼴이 되고 있다. 실제로 MOU체결 중 실제 투자협약을 한 사례는 6개 회사인데 국내기업은 천호식품(30억원 투자, 50명 고용) 단 1곳뿐이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