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벼 작황 ‘호조’ 산지쌀값 하락 가속화 될 듯

“8월에 2만 5,217톤 들여와···9월25일 80kg 16만 6,184원” GS&J 연구원, 쌀값 역계절진폭 4.5%

본격적인 수확기를 앞둔 벼 작황이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해산 쌀값의 하락폭이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민간 농업전문연구기관인 GS&J 김명환 농정전략연구원장은 <쌀가격 동향 제96, 신곡 작황 좋아, 구곡 가격 하락폭 커져>를 통해 925일 현재 산지 쌀값은 80kg 한 가마에 166,184원으로 10일 전보다 580(0.3%)이 떨어졌다고 밝혔다.

916~925일 기간 중의 하락폭 0.3%는 지난 426~55일의 0.4%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작년 1125일 이후 계속된 쌀값 하락이 더욱 가속화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이 쌀값 하락폭이 커진 이유는 올 벼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산지 유통업체들이 서둘러 2013년산 재고 처분에 나서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로써 올해 쌀 단경기(7~9)의 평균 산지 쌀값은 175,279원으로 작년 수확기(10~12) 평균가격 보다 7,970원이 낮아 작년산 쌀값의 역계절진폭은 4.5%였다.

한편 농업관측센터는 9262014년 쌀 생산량을 4133,000톤으로 작년보다 77,000(1.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쌀 생산량 전망은 재배면적이 816,000ha로 지난해 대비 17,000ha(2.1%)가 줄었음에도 10a당 수확량이 509kg로 작년보다 0.2%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데 따른 것. 한편, 정부는 1014‘14년산 쌀 예상생산량(9.15~22 조사)418만 톤으로 지난해 423만 톤보다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쌀값 추이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