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가을 '씨감자' 통째 파종해야

절단면 통한 세균 감염, 부패 우려…통 씨감자 이용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가을감자 재배 시 건전한 씨감자를 구입해 2∼4등분으로 자르지 말고 통으로 심도록 당부했다.

 

가을재배의 경우 한여름의 고온다습한 환경 때문에 싹을 틔우는 과정 또는 심고 난 후 절단면을 통한 세균 감염으로 씨감자가 썩고 수량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농촌진흥청 연구 결과 씨감자를 절단해 심을 때보다 통 씨감자로 심을 경우 싹의 출현율 종자(씨감자)를 파종한 후 지표면을 뚫고 나오는 개체의 비율도 높고 수량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단 감자의 싹 출현율은 40∼80%로 낮았으나 10∼60g 크기의 통 씨감자는 86∼100%로 높았다. 감자 크기가 클수록 출현율도 높아졌다. 수량은 통 씨감자의 경우 115~170% 정도 늘었다.

 

씨감자 한 알당 무게가 30g 이상일 때 휴면타파(잠깨우기) 비율이 높아서 싹이 잘 트고 안정적인 수확량을 올릴 수 있었다. 봄감자를 가을재배용 씨감자로 이용할 경우 6월 하순 전에 수확해야 충분히 휴면이 깨져 높은 출현율을 확보할 수 있다.

 

6월 중·하순 전에 수확한 통 씨감자는 출현율이 87~93%인 반면에 7월 상순에 수확한 통 씨감자는 54% 정도로 출현율이 낮았다.

 

씨감자를 고를 때는 일반적으로 진딧물이 적은 환경에서 재배된 건전종자를 선택해야 한다. 싹을 잘 틔우려면 수확 후 저온(4℃ 정도)에서 2∼3주간 보관하여 고온으로 옮기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가을재배에 알맞은 품종은 ‘새봉·고운·은선·대지’ 등으로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 일반적으로 봄재배 품종들은 휴면기간이 100일 정도인 반면, 가을재배 품종은 50~60일로 짧다.

 

특히 새봉은 재배기간이 90~100일 정도로 짧고 수량도 10a당 3,053㎏으로 높다. 감자칩 가공과 전, 튀김 요리에도 적합하다. 씨감자 구입처와 재배방법은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김경호 소장은 “가을감자는 되도록 통 씨감자를 이용하고, 싹을 틔워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가을감자 주산지 현장 실증을 통해 통 씨감자의 이용을 확대하고 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