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감자역병’ 사전방제로 피해 최소화 당부

강원도농업기술원(원장 최종태)에서는 고랭지 지역에 감자역병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면밀한 예찰과 사전방제를 해 줄 것을 시군농업기술센터 및 농업인에게 당부하고 있다.

 

감자 역병은 10~24℃의 서늘한 온도와 상대습도 80% 이상의 조건에서 발생하는 곰팡이병으로 잎·줄기와 덩이줄기를 침해하여, 수확 전·후 또는 저장 초기에 부패를 일으킬 수 있다.

 

피해증상으로 잎과 줄기에는 갈색 또는 흑색병반이 형성되고 흰색의 균사가 잎 뒷면에서 보인다. 병든 괴경은 표면에 불규칙한 변색이 있고 잘라보면 괴사한 병반이 조직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보인다.

 

역병 발병 시 감염주는 완전히 제거하고, 괴경이 노출되지 않도록 북을 충분히 주고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병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예방용 약제를 살포하고 병이 발생된 뒤에는 계통이 다른 살균제를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교대로 살포한다.

 

강원도농업기술원 김수환 기술보급과장은 “감자 역병이 일단 발생하면 전파력이 매우 강하여 약제를 살포하더라도 방제 효과가 낮은 편이므로 병이 발생하기 전에 적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