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병해충 '위험성 재평가' 착수...위험관리 강화

검역본부, 내년까지 병해충 2,230종 위험도 ‘일제 재평가’ 실시하기로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현행 식물검역관련 병해충에 대하여 일제 병해충 위험분석(PRA) 추진 계획을 밝혔다.

 

검역병해충은 1996년 식물방역법을 전면 개정하면서 1,379종을 지정한 이후 점차 증가하여 현재는 2,102종에 이르며, 아울러 그동안 농산물 교역 및 해외 여행의 증가에 따라 이들 병해충을 관리해야 할 식물검역 업무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검역환경의 변화를 감안하여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식물검역업무 추진을 위해서는 병해충별 새로운 정보, 과학적 평가기준 등에 따라 검역병해충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검역본부는 올해 3월 기존 병해충 위험분석 평가기준을 보완하고 식물위생조치를 위한 국제기준에 부합되는 새로운 위험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번 병해충 재평가는 대부분의 검역병해충을 대상으로 새로운 병해충 위험분석 평가기준에 따라 대학 등의 전문가 중심으로 추진하여 2021년까지 재평가를 완료할 계획이다.

 

평가 기준은 병해충위험분석 세부실시 방법(검역본부 고시)에 따르되 기후 및 농업환경 변화에 따른 유입 우려 병해충도 고려한다.

평가 기간은 위험도가 높은 금지병해충 77종과 검역병해충 지정 이후 최신 병해충 정보 반영 등이 필요한 관리병해충 2,018종 및 검역 현장에서 새로이 검출되었으나 그동안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잠정 규제되고 있는 병해충 135종에 대해서 2021년까지 재평가 완료할 것이다.

 

재평가의 핵심이 되는 병해충별 유입, 정착, 확산, 경제적 중요성 등의 기초 평가자료 작성 등에 대학, 연구기관 등의 병해충 전문가 참여 촉진 유도한다.

평가결과는 이러한 검역병해충 대한 재평가를 통해 일부 병해충의 검역적 위치 변화가 예상되고, 그동안 구체적인 평가없이 검역처분(잠정규제병해충)으로 발생하던 민원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아울러, 검역본부는 효과적인 병해충 위험관리를 위해 선진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강화 등을 통해 위험평가 기준 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검역병해충 재평가를 매 5년 주기로 추진할 예정이다.

 

검역본부 안용덕 식물검역부장은 “이번 병해충 위험도 재평가로 검역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합리적인 병해충 관리가 촉진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식물병해충 위험관리 체계 강화를 통해 안전한 농업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방역본부, ‘AI챔피언 1호 배출’ 공공부문 AI 선도를 위한 기반 마련!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김태환)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AI 활용역량 인증 평가에서 ‘위생방역본부 소속 AI챔피언 1호’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AI챔피언’은 행정안전부가 2030년까지 공공분야 AI전문가 2만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도로, AI를 활용해 정책 및 행정 서비스를 설계·실행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 인재를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시범운영된 AI챔피언 역량 인증자는 전국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 중 단 195명이며, 이중 농·축산업 분야는 4명이다. 위생방역본부는 현재 가축방역, 축산물위생검사, 민원·행정처리 고도화 등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해 사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AI챔피언 1호 배출은 위생방역본부의 AI 전문인력 양성 노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위생방역본부 김태환 본부장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방역·예찰·검역 등 국가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AI 기술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행정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이다.”라면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 데이터 기반, 실효성 있는 AI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직원 교육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