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국립축산과학원-국립환경과학원 업무협약 체결

미세먼지와 축산환경 분야 융‧복합 연구 기능 강화 위해 상호협력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양창범 원장)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이 미세먼지 및 축산환경 분야 융․복합 연구기능 강화를 위해 손을 잡는다.

두 기관은 15일 국립축산과학원(전주 혁신도시 본원 5층 대강당)에서 ‘대기환경 및 축산환경 분야 연구기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은 국내 축산 분야 국립연구기관과 대기환경 분야 국립연구기관이 미세먼지, 암모니아 등 대기질 평가 등 축산환경 분야 협업에 뜻을 함께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두 기관은 지속가능한 축산환경 조성을 위한 유익한 연구 활동과 정보교류 등 다양한 협력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은 협약체결과 함께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축산 냄새물질, 가축 분뇨 배출원단위 산정, 가축 분뇨 자원화 및 처리 등 축산환경 분야 연구기능 강화에 협력한다.

 

환경부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국립축산과학원과의 업무협약 체결로 2차 생성 미세먼지, 악취 및 양분관리 등 국정과제의 차질 없는 수행과 악취방지 종합시책 등의 이행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강화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양창범 국립축산과학원장은 “국립환경과학원과의 업무 협의와 기술 교류는 미세먼지, 가축 분뇨 등 축산 분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축산환경 분야 연구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이바지 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대기, 물,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연구, 안전한 환경조성을 위한 국민건강보호 연구, 환경정책 관련 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대기오염물질 측정망을 구축하여 신뢰도 높은 대기질 정보를 국민에게 서비스하는 연구기관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축산과 관련된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보급하는 국립연구기관으로 동물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가축 개량,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안전한 축산물 생산 기술, 조사료 품종 육성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검역본부, 제주산 참다래 수출협의체 가동
농림축산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지역본부장 고경봉)는 제주산 참다래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참다래 수출협의체’를 본격 운영한다. 이번 협의체에는 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 제주지역본부 등 5개 기관과 성산일출봉농협, 한라골드영농조합법인 등 7개 수출업체‧생산자단체가 참여한다. 검역본부 및 관계기관은 참다래 수출단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 국내 채종 수분용 꽃가루 궤양병 검사 지원, △ 농약 안전사용 정보 공유 및 안전성 분석 지원, △ 참다래 재배 전문기술 보급 및 예찰‧방제 현장 지원, △ 참다래 병해충 방제력 마련, △ 수출지원 사업 정보 공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주산 참다래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수출 확대 및 수출시장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검역본부 고경봉 제주지역본부장은 “이번 수출협의체는 공공기관과 생산자‧수출업체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농산물 수출 활성화를 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하면서, “농가소득 증대 등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협의체 구성단체들과 함께 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