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새마금 간척지, 겨울철 풀사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건초 생산량 증가 예상

새만금 간척지 풀사료 재배 작황 좋아
건초 6,500톤 이상 생산 가능…저장 풀사료 자급률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새만금 간척지에서 재배하고 있는 겨울철 풀사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초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간척지를 활용한 대단위 풀사료 재배 실증사업을 위해 지난해 12월, 새만금 간척지 650헥타르에 IRG를 파종했다.

파종 시기는 늦었지만 겨울 기온이 예년보다 따뜻했고 강수량도 적당해 4월 중순 생육조사 결과, IRG 초장이 18cm 이상 무성하게 자랐다.

 

 

간척지에서 풀사료를 재배하면 땅이 비옥해지고, 국내 저장 풀사료 자급률도 향상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흙의 염류를 제거하면 간척지에도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토양 유기물이 축적되면 작물 생산성도 높아진다.

 

5월 중순 새만금 간척지에서 IRG를 수확하면 6,500톤 이상의 건초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에서 필요한 풀사료는 건물 기준으로 연간 약 600만 톤이며, 해마다 110만 톤 정도를 수입하고 있어 수입 건초 대체효과도 기대된다.

풀사료를 넓은 땅에서 재배하면 대형 농기계를 활용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짧은 기간 동안 품질 좋은 건초 생산이 가능하다.

 

IRG는 건초를 만들기에 좋은 작물로, 예취(베기) 후 다음 날부터 3일 정도 반전기(테더)를 이용해 뒤집어 주면 양질의 건초를 만들 수 있다.

IRG 건초는 영양분이 많아 사료가치가 높고, 가축도 잘 먹을 뿐만 아니라, 사일리지(담근 먹이)보다 수분함량이 적어 품질이 변질되지 않는 상태로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천동원 초지사료과장은 “새만금 간척지에 IRG를 재배하면 토양이 비옥해지고, 풀사료도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 효과가 크다.”라며 “아직 유휴지로 남아 있는 간척지에도 풀사료 재배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과수농협연합회, ‘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11월 27일 개막
국산 과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자리에서 조망하는 ‘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DCC) 제2전시장 1·2홀에서 열린다. 올해 15회를 맞는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일 산업 박람회다. 행사 기간에는 전국 대표 과일부터 신품종까지 전시가 이뤄지며 관람객은 시식·체험·구매를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대한민국 대표과일 선발대회 시상식, 사랑의 과일 전달식, 우리과일 요리경연대회 등 무대 프로그램이 이어지고,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우리과일 칵테일쇼’, ‘실감체험’, ‘AI사진관’ 등 참여형 콘텐츠도 운영된다. 어린이 식생활 교육을 겨냥한 ‘어린이 우리과일 탐험대’는 7대 과종과 신품종을 배우고 맛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주최 측은 놀이 기반 학습을 통해 국산 과일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고 일상 소비로 연결되도록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주제별 전시관도 마련됐다. 대표과일 선발대회 수상작을 모은 ‘대표과일관’, 기후적응형 품종을 포함한 ‘신품종소개관’, 정책·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과일정책홍보관’에서 품종 특성, 저장·유통, 안전관리 체계를 한눈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