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코로나19' 채널별 정보량 '언론 뉴스' 최다…트위터 '부정글' 압도적

1월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이달 17일까지 채널별 총 정보량 조사
뉴스 34%…트위터, 긍정률 대비 부정률 14배 높아 '블로그'와 대조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가장 많이 언급한 채널은 언론사 '뉴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트를 특성별로 분류한 온라인 '채널' 중에서는 '트위터'의 부정어 비율이 가장 높은데 비해 '블로그'는 긍정어 비율이 가장 높아 대조를 보였다.

 

4월 18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가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1월20일부터 이달 17일까지 89일간 감염병 데이터량을 집계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 기간 코로나19(신종 바이러스, 우한 폐렴 키워드 포함) 포스팅 총 정보량은 1922만6,259건이었다.

 

이 가운데 뉴스가 665만6951건(34.62%)으로 가장 많았으며 블로그 400만4250건 20.83%, 카페 226만1716건 11.76%, 트위터 207만6398건 10.80%, 커뮤니티 199만5234건 10.38%, 인스타그램 160만3698건 8.34% 순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5개 채널의 정보량은 각 20만건 미만으로 점유율은 1%가 안된다. 최근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유튜브 역시 13만6609건으로 0.71%에 그쳤다.

 

코로나19 '채널별 감성어' 비율을 살펴본 결과 '긍정률'이 가장 높은 곳은 블로그로 52.4%였다. 블로그의 부정률은 21.4%에 그쳐 긍정률이 부정률보다 2.4배나 높다. 

 

긍정률 순위로 카카오스토리가 32.5%로 뒤를 이었으며 청와대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검찰 등 정부/공공 사이트가 31.9%를 기록했다.

긍정률이 가장 낮은 채널은 트위터로 1.9%에 불과했으며 유튜브가 3.3%였다. 

 

부정률이 가장 높은 채널은 '지식인'으로 43.3%에 달했다. 이는 빅데이터 감성어에서 흔히 부정어로 분류되는 '호흡 곤란' '두통' '발열' 등 코로나 증상에 대해 묻는 글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어 커뮤니티가 39.0%, 기업/단체 33.4%, 페이스북 32.9% 순이었다.

부정률이 가장 낮은 채널은 인스타그램으로 15.1%에 불과했다.

 

긍정률 대비 부정률이 가장 높은 채널은 '트위터'로 긍정률은 1.9%인데 비해 부정률은 27.4%로 나타나 부정률이 긍정률보다 14배나 높았다. 즉 중립 게시글을 제외할 경우 포스팅 글 14개중 하나만 긍정 포스팅이고 13개는 부정적인 내용이란 뜻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의 경우 감염병 극복을 위한 응원 메시지나 예방 수칙등의 글이 많이 포스팅돼 긍정률이 높았다"면서 "정치 분야와 마찬가지로 감염병 관련글에서도 트위터의 부정률이 매우 높았다"고 밝혔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검역본부, 제주산 참다래 수출협의체 가동
농림축산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지역본부장 고경봉)는 제주산 참다래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참다래 수출협의체’를 본격 운영한다. 이번 협의체에는 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 제주지역본부 등 5개 기관과 성산일출봉농협, 한라골드영농조합법인 등 7개 수출업체‧생산자단체가 참여한다. 검역본부 및 관계기관은 참다래 수출단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 국내 채종 수분용 꽃가루 궤양병 검사 지원, △ 농약 안전사용 정보 공유 및 안전성 분석 지원, △ 참다래 재배 전문기술 보급 및 예찰‧방제 현장 지원, △ 참다래 병해충 방제력 마련, △ 수출지원 사업 정보 공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주산 참다래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수출 확대 및 수출시장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검역본부 고경봉 제주지역본부장은 “이번 수출협의체는 공공기관과 생산자‧수출업체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농산물 수출 활성화를 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하면서, “농가소득 증대 등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협의체 구성단체들과 함께 노

배너